가슴 뛰는 한 줄
이현 지음 / 리더북스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일년이 가도록 책 한 권 읽지 않는 사람들도 많지만, 제대로 독서를 해보고 싶어하는 사람들도 꽤 많습니다. 그런 사람들과 이야기 하던 중에 "뭔가 읽기는 계속 읽는데 머릿속에 남는 건 하나도 없고, 그저 마음의 위안 아니면 소일거리로 보는 게 아닌가 하는 자책감이 든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책의 마지막 장까지 도달하는것, 꼼꼼하게 읽으면서 씹고 또 씹어 단물을 빼 내는 것, 작가의 생각을 쫓아가려고 욕심을 내는 것은 그리 중요하지 않습니다. 아무때나 아무데서나 마음대로 읽고 싶은 것을 읽으면 됩니다. 책을 사랑한다면 마음이 끌리는 대로 읽으면 됩니다.

저자의 말 中에서

 

책을 한 권 읽으면 적게는 한 두 문장에서부터 많게는 몇페이지에 이르기까지 맘에 드는 글귀는 발견하게 된다. 예전에는 메모지에 적거나, 따로 그 부분을 표시해놓곤 했는데 요즘은 리뷰를 쓰면서 중간중간 색을 달리해 적어놓곤 하는데 실제 다른 사람들의 리뷰를 보고서 그 좋은 글귀에 반해 책을 구입하게 되는 경우가 많더라.

머릿속에, 가슴에 묻어두고서 편지쓸때나 위로, 감사의 말을 전해야 할때에 한 줄 끼어넣으면 그야말로 금상첨화인 그런 글들을 발견할때는 너무너무 행복해지고 그 책 내용이 오래도록 잊혀지지 않게 되는데 성수선님의 밑줄 긋는 여자를 읽고서 아 ~ 이런 책도 있구나 싶은게 너무너무 재밌게 잘 읽히고 이 사람은 이 책에서 이 문장을, 이런 느낌으로 해석했구나 서로 공감도 하고 비교해보는 재미가 쏠쏠했는데 이현님의 가슴 뛰는 한 줄 이란 책을 보고서 아 ~ 그 책하고 비슷하겠다 싶어 이 분은 어떤책, 어떤 글귀를 맘에 들어했으며 어떻게 해석했을까가 넘 궁금해 곧장 읽기 시작했다.

밑줄 긋는 여자와는 비교도 안 될 많은 책들의 소개에 눈이 휘둥그레 ~ 책 속 좋은 글귀뿐 아니라 유행가 가사, 영화, 시 등등 폭넓은 이야기에 읽는내내 행복했다.

여전히 읽은 책보다 못읽어본 새로운 책이 많았지만 그래도 내가 읽었던 아오야마 나나에의 혼자 있기 좋은날, 미야베 미유키의 모방범, 밀란 쿤데라의 참을수 없는 가벼움, 기욤뮈소의 스키다마링크, 에쿠니 가오리의 당신의 주말은 몇개입니까, 무라카미 하루키의 상실의 시대, 이외수의 하악하악, 하퍼 리의 앵무새 죽이기등등이 나와서 반갑고 좋았던 ~

 

박재환님의 술의 사회학을 읽을때면 술자리를 좋아하는 여동생이 생각나더라. 술을 마신다는 것은 단지 알코올을 위장에 들이붓는 생물학적 행위로만 설명할 수 없다. 피같은 술이란 표현에는 술을 마시면서 동일한 문화 혈액형을 갖게 된다는 사회적 의미가 담겨있다라는~ 글귀가 음주가무를 즐기는 동생을 이해못해 자주 싸우는 편인데 왠지 동생을 이해할 수도 있을 것 같은 기분이 들게 해주네~

 

내가 책을 읽게 된 계기는 무엇일까 곰곰히 생각해보면 아버지 때문이었던 것 같다.

나는 어릴때부터 굉장한 독서광이었는데 아버지는 밥도 안먹고 책읽는 내가, 잠도 안자고 불켜놓고 책읽는 내가 꽤나 맘에 안드셨던 것 같다. 초등학교 3,4학년때쯤 집에 불이나 학교 다닐때 필요한 책이며 책가방이 다 타버렸는데 아버지는 친구에게 빌려보라며 책한권 안사주셨다는 ~ 그때 여자가 배워서 뭐해 ~ 은행에 취직해 돈버는게 최고라는 말씀을 하셨다. 어린 마음에 너무 큰 상처를 받았고 아직도 잊혀지지 않는다. 중학교 들어가 나름 책을 읽고 난 다음 독후감을 잘 써서 이런저런 백일장 대회며 독후감 대회에 출전하곤 했는데 그때도 아버지는 탐탁치않아 했던 게 생각난다.

00고등학교에 보내주면 책임지고 키워보겠노라 교장선생님께서 선언을 하셨었는데 입문계 고등학교라 돈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단번에 거절하셨으니까.

중학교 국어선생님께서 도서관 열쇠를 나에게 맡기면서 언제든지 읽고 싶을때 꺼내 읽으라고 하셔서 원없이 책에 빠져들수 있었던 그 때. 그 시절이 나에겐 최고의 책읽기를 자랑했던 때가 아니었을까~ 사춘기 고민을 책으로 풀었던 듯~ 그래서 그런지 친구들 사이에서 내가 무슨말을 할 때마다 애늙은이라는 소리를 참 많이 들었는데 ㅎ

괜히 그립고 안타까운 흘러간 시간들. 아버지를 별로 안좋아하는데 지금의 나를 있게 해준 아버지를 미워해야할까, 고마워해야할까 ;; 새삼 고민되는구만 ~

 

바빠서 여유가 없어 책읽기가 힘들다는 말씀 하시죠 ?

바쁘게 사는 당신, 그래서 더 행복한가요 ? 시집이라도 좋으니 책 한권으로 마음의 여유 찾으시길 바래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