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취향의 탄생 - 마음을 사로잡는 것들의 비밀
톰 밴더빌트 지음, 박준형 옮김 / 토네이도 / 2016년 12월
평점 :
절판
딸내미와의 대화로부터 취향은 카테고리로 정리가 가능하고 언제나 때에 따라 바뀌고 선택되고 비교대상이며 타고나는 일은 드물다는 취향의 특성을 이야기하며 시작한다.
저자는 취향을 ‘좋아하는 것’이라 하고 누가 취향을 가지고 있고, 왜 가지고 있고, 왜 변하고 목적은 무엇인지에 대한 취향의 과학적 원칙을 밝혀 내고자한다.
직장인의 가장 큰 고민이 ‘오늘 점심 뭐 먹을까?‘라는 우스개처럼 왜 어떤 것이 다른 것보다 좋을까? 우리는 매일 다양한 방법으로 여기에 대해 질문을 받는다. 나의 취향에 대해 왜 그런지 뚜렷이 설명할 수는 없지만 사실 요즘 빅데이터 분석에 따른 추천상품, 광고 등을 보면 섬뜩할 때가 많다. 도대체 왜 이런 취향이 생기는 것일까?
첫 번째로 취향이 가장 잘 나타나는 음식은 신경심리학으로 설명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은 배워가는 것으로 학습과 취향이 상호작용하여 즐거움이 생기는 과정이라고 했다. 커피처럼 맛이 좋고 나쁨을 떠나 마셔본 사람의 경험이 취향을 만든다고 한다.
이 챕터를 읽고 까망베르 치즈에 대한 나와 우리 가족의 다른 취향이 떠올랐다. 솔직히 우리나라에서 익숙하지 않았던 까망베르 치즈를 유학시절 접했던 나는 무척이나 좋아한다. 반면 익숙하지 않은 우리 가족은 아직 학습 중인 것 같다. 곧 취향이 같아질 것이라는 기대를 해본다.
음식 외에도 넷플릭스 영화, 음악, 소셜미디어 활동 등에 대해 '취향 분류학'의 방법론적, 심리학적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렇다면 취향은 왜 변하는가? 미술품 경매가의 변화를 시작으로 현재 각광받는 작품이 앞으로도 그러리라는 보장이 없다는 이야기로 시작하는 이 챕터는 사람들은 심리학적으로 미래의 취향이 지금의 취향과 같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행동한다고 했다. 그렇지만 이런 사람들의 마음에 ‘참신함’이라는 것이 나타나면 이 낯선 것을 받아들이고자 하는 과정에서 취향이 변한다고 한다. 또 취향은 사람들이 남과 달라지고 싶어 할 때 변화한다고, 그런데 남과 같아지고 싶어 할 때도 변화한다고 한다. 그리고 가끔은 오류나 무작위 때문에 변화하기도 한다고 한다.
취향을 만드는 여러 가지 심리적 요인 중 하나는 뭔가 새로운 것을 찾고 나만의 것으로 만들고 싶은 마음이겠거니 싶다. 나를 나타내는 내 취향은 참신하고 싶은 마음.
전체적으로 책은 취향에 대한 심리학, 경제학, 신경과학 등 여러 분야의 연구 결과를 실제 사례와 비교하며 취향을 만드는 것에 외부적인 요인들의 어떻게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설명해주고 있다. 연구사례가 흥미롭기도 했고 뭔가 알고 있던 것이 정리되는 것 같기도 했다.
나만의 취향을 만들고 지키고 싶은 분들이 읽어볼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