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 신영복 옥중서간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199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20년동안 세상과 격리된 채 살아야 한다면 과연 제 정신으로 살아낼 수 있을까? 하지만 신영복선생은 그의 글씨체만큼이나 반듯하고 아름다운 마음을 잃지 않고 살아냈고 그 생각의 궤적은 이 책에서 빛나고 있다.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육군사관학교에서 교관을 하던 전도유망한 젊은이는 1968년 박정희 정부 시절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구속된 후 사형을 선고받지만 대법원에서 무기징역으로 감형되고 20년을 복역하게 된다. 1970년 남한산성 육군교도소에 있을때의 글은 특정 수신인이 없는 글로 자신의 마음을 글로써 풀어낸 내용이 많지만 이후 안양교도소와 대전, 전주교도소에서 쓴 글은 지인들에게 보낸 편지글이다. 때로는 그림도 옆에 그려가면서 보낸 글들은 하나같이 주옥같아 오죽하면 편지를 받은 사람들이 그 편지들을 모아 책으로 만들 생각을 했을까!
선생의 입장을 헤아려 보면서 그 속이 과연 어땠을까 상상해보는 것 만으로도 힘들고 괴로운데, 책 중간중간 실려있는 선생의 편지를 찍은 사진들을 보면 얼마나 정갈하고 또박또박 살아있는 글씨인지 전혀 그런 어두운 기운이 느껴지지 않는다. ‘자신을 가장 밑바닥에 세우는 냉정한 시선과 용기’를 잃지 않으면서도, ‘아내의 일 나감’을 걱정하는 젊은 동료를 보며 ‘아내를 세들어’ 살아야 하는 힘든 사람들을 안타까워한다.
처음에는 아버님과 어머님, 형님, 동생에게 쓰던 편지가 뒤로 갈수록 형수님과 계수님에게 쓰는 편지로 바뀌고, 그 속에 자신의 생활이라던가 생각했던 것, 경험했던 이야기들을 풀어내는 선생의 글을 읽다보면 어떻게 그런 상황속에서도 무너지지 않고 반듯한 정신을 잃지 않을수 있는지 마음이 숙연해진다. 형수님에게 쓴 여름 징역살이에 대한 글은 자신에 대한 칼날같은 성찰로 쓰여진 글일 것이다. 비좁은 감옥안에서 상대방의 체온을 느끼며 갖게되는 증오를 없이 사는 사람들 생활속의 그것과 비교해보며, 결코 그것이 그들의 도덕성에 문제가 있어서 그런 것이 아니라 주어진 환경과 조건을 헤아려야만 한다는 선생의 생각은 책 전체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공감과 연대.
‘머리 좋은 것이 마음 좋은 것만 못하고, 마음 좋은 것이 손 좋은 것만 못하고, 손 좋은 것이 발 좋은 것만 못한 법입니다. 관찰보다는 애정이, 애정보다는 실천적 연대가, 실천적 연대보다는 입장의 동일함이 더욱 중요합니다. 입장의 동일함 그것은 관계의 최고 형태입니다.’(p313)
‘돕는다는 것은 우산을 들어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비를 맞는 것’(p325)
책을 읽으면서 첫 부분은 신경쓰지 않고 읽었는데, 뒤로 갈수록 글의 마지막 날자를 자꾸 보게된다. 어서 20년이 지나 선생이 자유의 몸이 되어야 할 텐데 하는 마음일까. 2006년 발행된 책이라 저자 소개난의 선생은 아직 성공회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중이시다. 다음 번 책은 바깥세상에서 쓴 선생의 책을 읽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