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상한 진흙 ㅣ 창비청소년문학 71
루이스 새커 지음, 김영선 옮김 / 창비 / 2015년 11월
평점 :
창비에서 재미있는 이벤트를 기획했다. 이름하여 눈가리고 책읽는당!
제목도 저자도 알지 못한다. 오로지 내용만으로 승부!
대개 책을 읽기 전에 이런저런 정보를 접하고 최종적으로 책을 읽을것인지 말 것인지 결정하게 된다. 유명한 작가의 작품이라서 책을 선택할수도 있고 책 표지가 마음에 들어 책을 읽게 될 수도 있다.(나에게는 이게 제일 비중있는 선택의 조건...^^;;) 혹은 제목이 마음에 들어서 읽게 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자칫하면 ‘낚일’수가 있다는 것이 함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제목도 지은이도 모르는 상태로 책을 읽은 경험은 어쩌면 일종의 모험일수 있지 않을까. 이런 묻지마 독서는 그 옛날 국정교과서를 읽어야 했던 이후로 거의 처음인 듯.
무슨 내용인지 어디한번 볼까...라는 생각으로 표지를 펼쳐서 조금만 읽어보려고 했는데 어느새 마지막장을 덮고 있더라는! 처음부터 끝까지 흥미진진하게 읽을 수 있었다. 너무 자극적이라 아드레날린이 푹푹 나오는 그런 내용은 아니지만 주인공이 13살 소녀로 나름대로의 역경을 겪고 영웅이 되는 과정이 실감나게 표현되고 있다. (그렇다고 이 친구가 꼭 영웅이 되고자 애썼다는 얘긴 아니다. 그저 결과론적으로 그렇다는 것 뿐)
하지만 소녀의 고난 극복 스토리와 함께 왕따문제, 문제아 문제(그렇다. 이건 어느나라나 다 있는 공통적인 인류의 숙제같은 존재,,,,), 환경오염, 에너지 개발문제 등등... 그야말로 지금 우리가 살아가면서 맞닥드리는 여러 가지 문제들이 녹아들어있다. 이 책을 한참 읽고있을 때 뉴스에서는 건국대에서 원인모를 폐렴으로 벌써 50명이상 감염되었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었으니 소설속의 상황이 예사롭게 느껴지지 않는다. (현실과 소설의 싱크로율 급상승!) 그저 다른점이 있다면 왠지 여기 나오는 정치인들은 일을 잘 하고 있다는 느낌이... 쿨럭;;;
어쩌면 이 소설은 청소년 소설로 분류될지도 모르겠다. 주인공이 13살 소녀이기 때문에? 피와 폭력이 난무하는 내용이 아니라? 하지만 여기에 나오는, 우리의 주인공이 가지고 있는 또는 추구하는 미덕은 결코 청소년에게만 요구되는 것만은 아닐 듯. 타마야도 느끼듯이 그런 미덕들은 모두 구시대의 유물이 되어가는 것은 아닐까 하는 의문이 생길때도 있지만, 그래도 여전히 그러한 가치들이 위력을 발휘한다는 것이 바로 이 소설을 쓴 작가가 말하고 싶은 것이리라. 관용,청결,용기,공감,품위,겸손,정직,인내,신중,절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