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수용소에서 (양장) - 빅터 프랭클의
빅터 프랭클 지음, 이시형 옮김 / 청아출판사 / 200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로고테라피의 창시자 빅터 프랭클의 유명한 책인 죽음의 수용소에서.

삶의 희망이라고는 조금도 없을 것 같은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기적적으로 생존한 한 남자가 '희망'에 관해 쓴 이야기다.

   

아마 독일의 역사에 대해 떠올린다면 이 수용소를 떠올릴텐데, 나도 자세히는 이 책을 통해서 관심이 생겨 이것저것 찾아보았는데, 몇 일간 잘때마다 떠올라서 정신이 이상해질 것 같았다.

자살에 관련된 에세이를 쓰다가 뻔한 해결책을 주고 싶지 않아 이것저것 서적들을 찾아보다가 발견한 책이 바로 이거였는데, 그 때와 달리 지금 보니 느낌이 새롭다. 그 때의 에세이도 다시 보니 새롭고.


아우슈비츠 수용소 안의 이야기에 대해서는 이 책 말고도 생존자의 이야기가 많이 있지만 이 책이 주는 특별함이라고 한다면, 일단 단순히 수용소에서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그 극한의 상황속에서 찾은 인간애와 희망에 대해 말한다는 것. 그리고 그와 맞물려 탄생한 로고테라피로 내 삶과도 연결시켜줬다는 것.


프랭클은 그 곳에서도 수감자와 가끔 유머로 고통스러운 상황을 견디기도 하고, 죽을 것 같은 순간에 사랑하는 사람을 떠올리며 행복감을 느끼기도 한다.

매일 매일 아우슈비츠에서 죽어가는 사람들을 보며, 그리고 시체들을 지켜보며, 그리고 자신도 목숨이 위태로운 극한의 상황에서 삶의 의미를 찾는다는 건. 사실 상상으로도 쉽지 않다.

공포스러운 상황에서 프랭클은 자신이 생존자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가는 상상을 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자신이 왜 살아야하는지 끊임없이 떠올리고 수감자들을 격려하기도 한다. 인간에게 모든 것을 다 빼앗아도 자기 자신이 선택할 수 있는 자유만은 빼앗을 수 없다. 

열악한 상황, 병, 육체적 고통보다 더 무서운 것은 희망의 상실이었다. 희망을 잃어버린, 살아야할 의미를 찾지 못한 사람은 절망감으로 생명의 끈을 놓아버렸다. 

프랭클을 고통스러운 상황과 병에서 살아남게 해준 것은 살아남아야만 하는 이유,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인간에게 모든 것을 빼앗아갈 수 있어도 단 한 가지, 마지막 남은 인간의 자유, 

주어진 환경에서 자신의 태도를 결정하고, 

자기 자신의 길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만은 빼앗아갈 수 없다는 것이다.

- 빅터 프랭클


p.70
꿈에서는 평소에 풀지 못했던 욕구나 불분명한 감정이 정확하게 나타나는 법인데도 말이다.

p.77 - p.78
그때 한 가지 생각이 내 머리를 관통했다.
내 생애 처음으로 나는 그렇게 많은 시인들이 자기 시를 통해서 노래하고, 그렇게 많은 사상가들이 최고의 지혜라고 외쳤던 하나의 진리를 깨닫게 되었다.
그 진리란 바로 사랑이야말로 인간이 추구해야 할 궁극적이고 가장 숭고한 목표라는 것이다.
그때 나는 이 세상에 남길 것이 하나도 없는 사람이라도 사랑하는 사람을 생각하며 여전히 더 말할 나위없는 행복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p.86
유머는 자기 보존을 위한 투쟁에 필요한 또 다른 무기였다.
이미 잘 알려진 대로 유머는 그 어떤 상황에서도 그것을 딛고 일어설 수 있는 능력과 초연함을 가져다준다.

감정, 고통스러운 감정은 우리가 그것을 명확하고 확실하게 묘사하는 바로 순간에 고통이기를 멈춘다.
- 스피노자 <윤리학>

p.137
자신의 삶에 더 이상의 느낌이 없는 사람, 이루어야 할 아무런 목적도, 목표도 그리고 의미도 없는 사람. 그런 사람은 곧 파멸했다.

p.138
정말 중요한 것은 우리가 삶으로부터 무엇을 기대하는가가 아니라 삶이 우리로부터 무엇을 기대하는가 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삶의 의미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것을 중단하고, 대신 삶으로부터 질문을 받고 있는 우리 자신에 대해 매일 매시간마다 생각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인생이란 궁극적으로 이런 질문에 대한 올바른 해답을 찾고, 개개인 앞에 놓여진 과제를 수행해 나가기 위한 책임을 떠맡는 것을 의미한다.

p.138
`삶`이란 막연한 것이 아니라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삶이 우리에게 던져준 과제가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바로 이것이 개개인마다 다른 인간의 운명을 결정한다.
어떤 사람도, 어떤 운명도, 그와는 다른 사람, 그와는 다른 운명과 비교할 수 없다.
똑같은 상황이 되풀이되는 경우는 하나도 없으며, 각각의 상황은 서로 다른 반응을 불러 일으킨다.

p.147
나는 내 동료를 향해 어떤 상황에서도 인간의 삶은 의미를 갖는 일을 절대로 멈추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삶의 무한한 의미에는 고통과 임종, 궁핍과 죽음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는 말을 했다.

p.176
사람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마음의 안정 혹은 생물학에서 말하는 `항상성`, 즉 긴장이 없는 상태라는 말을 흔히 하는데, 나는 정신건강에 대해 이것처럼 위험천만한 오해는 없다고 생각한다.
인간에게 실제로 필요한 것은 긴장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가치 있는 목표, 자유의지로 선택한 그 목표를 위해 노력하고 투쟁하는 것이다.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항상성이 아니라 정신적인 역동성이다.

p.184
로고테라피에 의하면 우리는 삶의 의미를 세 가지 방식으로 찾을 수 있다.
1) 무엇인가를 창조하거나 어떤 일을 함으로써
2) 어떤 일을 경험하거나 어떤 사람을 만남으로써
그리고 3) 피할 수 없는 시련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하기로 결정함으로써 삶의 의미에 다가갈 수 있다.

p.237
비극의 세 가지 요소 중 세번째 것은 죽음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삶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삶의 순간들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시간들이 끊임없이 죽어가고 있으며,
지나간 순간은 다시는 돌아오지 않기 때문이다.

`왜` 살아야 하는지 아는 사람은 그 `어떤` 상황도 견딜 수 있다.
- 니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