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오아시스
김채원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5년 1월
평점 :
'질서는 삶을 혼란 없이 순조롭게 이루어지게 하는 순서나 차례'(43)라고 말한다. 그리고 작중 인물들은 모종의 상실로 인해 이 질서를 잃어버린 듯하다.
환상과 현실이, 독백과 말풍선의 구분이 모호하다. 갑작스럽게 만나고, 헤어지고, 인사하고, 대화하고, 이윽고 사라지기도 하는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이것이 실재하는 일인지 혼란스러워진다. 오직 죽은 자와 산 자의 경계만이 선명하다. 신기루 같은 이 소설집은 무엇을 그리고 싶었던 걸까 생각하다가 모든 단편에서 공통적으로 언급하는 꿈, 햇빛, 걷는 일에 의미를 부여하고서 재독했다. 그러자 애도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고.
꿈속에서 나는 얼마든지 죽을 수 있었고 살 수도 있었다. (94) 그러나 현실에서는 죽은 자가 있는가 하면 산 자, 살아가야 하는 자 또한 있는 법이다. 석용은 유림의 꿈을 꾸며 말을 걸고 싶어 한다. 노인은 딸에게 늦게나마 되묻는다. 다시는 볼 수 없는 상대를 떠올리고 또 다른 가능성을 상정하는 마음이란 그리움이 아닐까. 그들의 파편을 따라 걷는 일이 애도가 아닐 수 있을까?
이미지와 이미지가 이야기와 이야기가 중첩되는 느낌을 받았다. 현관은 수국 뒤에 있다의 친구 유림과 쓸 수 있는 대답의 유림이, 빛 가운데 걷기의 아이와 외출의 화자가 동일인물임을 유추할 수 있었는데, 자살을 그만두기로 했던 유림이 어떤 이유로 견디는 일을 그만두게 된 것인지, 할아버지의 시선을 통해서만 비춰지던 아이가 발화자가 되기까지의 시간이 궁금해졌다.
서울과 오아시스, 어울리지 않는 두 단어의 결합이 잘 어울린다. 아이러니하게도 죽음으로써 삶을 조명한다. 작가는 햇빛 아래에서도 공포감을 느끼게 한다. 삶은 멈추지 않고 계속되어 공포스럽지만 그럼에도 나는 그들과 내가 언제까지고 햇빛을 맞고 걸을 수 있기를 바란다.
단어를 열거하는 방식이 자주 사용되는데 소설에서 운율이 느껴진다는 점과 문장의 시각화가 뛰어나다는 점이 좋았다. 특히나 다섯 개의 오렌지 씨앗은 자주 접했던 소설의 형식을 탈피한 단편으로 독특했고. 신선한 소설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