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잉 홈
문지혁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딘가로 향하는 아홉 편의 이야기. 내게 집이라는 공간이 주는 감상은 안락함과 편안함인데 그래서일까, 집은 간다기보다는 ‘돌아간다’는 표현이 어울리는 단어라고 생각한다. 돌아가고자 하는 마음 또는 돌아가는 여정을 떠올리며 고잉 홈을 펼쳤다.

이야기 속 등장인물들은 저마다의 사정으로 발이 묶여 있다. 그것은 코로나 시국이나 가난한 유학생 신분처럼 사회적 문제이기도 하고 꿈 또는 쉬이 잊을 수 없는 과거처럼 지극히 개인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그리고 책은 그들이 머물러 있는 순간을 멀리서 관망하고 있는 듯하다. 읽으면서 그곳이 어디인지도 모른 채 어딘가에 묶여 있는 막막함을 자주 느꼈다.

바라보는 모든 곳이 방향인데도 나아가는 일은 왜 이렇게 힘들까. 왜 우리는 가로세로 반듯한 길에서조차 길을 잃어버리는(141) 걸까. 부푼 기대를 안고 유학의 길에 올랐을, 그러나 그만큼의 좌절을 겪었을 이들을 보며 잊고 있던 순간들이 떠올랐다. 무언가를 향해 가는 삶의 여정 속에서 나도 그들처럼 자주 방황하고 때때로 방랑자가 된다. 내 삶인데도 마음처럼 되지 않아 낭패감을 느꼈던 기억이, 마치 이방인이 된 듯한 기분을 느낀 적이 있다.

책에는 유학생 신분이 자주 등장하는데 그들에게 집으로, 한국으로 돌아가는 선택은 무조건적으로 기쁜 일만은 아닐지 모른다. 다만 나는 모두가 무사히 돌아갈 수 있기를, 도달할 수 있기를, 종착지를 찾을 수 있기를 바랐다. 책에서 의미하는 ’홈‘이 꼭 물리적 공간만이 아닐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내 삶, 내 자아, 안락함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어떤 미래에 도착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읽었다. 그리고 그들을 향한 응원이 내게도 위로가 되었다.

문지혁 작가의 소설은 처음인데 무척 매력적이다! 관망한다고 느꼈던 작가의 시선이 왠지 위안으로 다가온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