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이야기를 계속하겠습니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지음, 이지수 옮김 / 바다출판사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오래오래 곁에두고 싶다고 생각이 처음든건 첫 챕터를 읽고나서였다. 신선한 충격이었던건, 한국서도 잘 알려지고 흥행에 성공한 영화가 꽤 많은 영화감독이라는 저자의 친숙한 정체성 대신, 일본 현 정부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과 거리를 유지하고 싶어하는 저자의 정치적 스탠스 라는, 한국의 팬들에겐 조금 덜 알려진 저자의 면모를 책의 첫챕터에 배치했다 라는게 신선했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엔 저자가 이렇게 정치인과 미디어를 경계하고, 그가 느낀 사회적 모순과 분노를 그의 영화 속 세부적 장치로 표출한다고 생각을 못했다. 대부분 가족의 소소하고 잔잔한 이야기가 주가된 영화를 만들어온 감독이었기에. 하지만 그렇게 한발자욱 뒤에서 평가와 해석을 관객에게 맡기며 자신의 방식으로 ˝슬픔대신 분노로˝, ˝대답대신 질문으로˝ 더 여운을 남기를 영화를 만듬으로서, 그가 할수 있는 한 사회문제에 대한 나름의 책임을 지려는게 진짜 어른답다 느꼈다.

이후 챕터에는 자신이 티비 다큐멘터리 스태프로서, 영화감독으로서 함께 우정맺어온 사람들의 죽음에 대한 진심담긴 애도, 영화현장에서 느낀 것들, 정성일 평론가님과의 영화관 대담 등 여러 방면으로 고레에다 감독의 영화인으로서, 그리고 이 시대를 반백년 이상 살아온 어른으로서의 다양한 면을 느낄 수 있는 책이었다.

감독이 20여년 개인 홈페이지에 남긴 글들을 모아 새로운 포맷으로 책을 묶고, 챕터링을 하는 과정이 있었기에 이 책이 여느 명사 에세이보다 청의적이고 저자의 생각이 명료하게 드러나는 양태를 갖추었다고 본다. 그건 이 책의 번역자이자 사실상 공동편집자 이지수님, 그리고 바다출판사의 저력이기도 한것 같다. <명랑한 은둔자> 에서 저자 캐럴라인 냅의 산문을 모아 한 개인의 역사에서 사회의 흐름을 그리고 공감을 이끌어내게 한 힘이 <작은 이야기를 계속하겠습니다> 에서도 여실히 느껴졌다.

하나 소소히 아쉬웠던 점 하나. 담화 파트에서 인터뷰어셨던 정성일 님께서 독자에게 최대한 많이 고레에다 감독의 작품관과 세계관에 대해 알게 하시려고 질문을 정말 다각도로 많이 준비하셨다. 그런데 그 모든걸 물어보고 답을 얻으시려고 하다보니 고레에다 감독이 (키키 키린님과의 인터뷰에서도 자주 보여주었던) 특유의 큰 질문의 대한 답을 하며 넣은 소소한 에피소드, 혹은 유머에 대한 리엑션을 많이 해주시진 못한 것 같다. 전반적인 대담회 분위기는 화기애애 해보였으나 약간 질문 --> 답 --> 새질문--> 답
이런 구조로 진행되어 조금은 옆길로 새어나가도 재밌지 않았고 감독님도 편해하지 않았을까 라는 아쉬움은 손톱만큼 있었다.

(여담이지만 감독님, 제발 말년에 사고치시거나 망언하시면 안되요 ㅠㅠ 저 실망시키지 말아주세요. 제발 끝까지 실망시키지 않는 지성인이 좀 있었으면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