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속 여자들은 잘 안 웃는다. 실제 부부를 그린 <온실에서>(In the Conservatory, 1879)에서는 기유메 부인이 싸늘한 표정을짓고 있어서 논란이 됐고 1863년에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저 유명한 <올랭피아>(Olympia)도 웃지 않았다. 한때 웃음이 혁명이었다면, 웃지 않음이 문제가 되는 시절이 온 것이다. 웃건 웃지않건 중요한 것은 ‘관행을 깼다‘는 점이다. - P75

그 누구와도 닮지 않았다는 것, 남과 다르다는 것, 개성이강하다는 것은 이제 예술가들에게 최고의 칭찬이 됐다. 이전 시대에 개성이 강하다는 말은 회화의 보편적인 법칙에 어긋났다는 부정적인 의미였다. 개성이 강하다는 말이 중요해지기 시작한 것은 더 이상 위대한 영웅이 아닌 평범한 개인이 예술작품의주인공이 됐기 때문이다. 평범한 개인이 주인공이 되어 평이한스토리를 이어갈 때 예술작품의 중요한 특성으로 부각되는 것 - P81

이 바로 작가의 스타일(style)이었다. 역사학자 피터 게이(PeterGay, 1923~2015)는 이러한 ‘스타일에 대한 의식‘을 모더니즘의본질이라고 말한다. - P82

"아아, 따분해, 따분해?"
사실 이 말은 플로베르의 소설 『마담 보바리』의 남자 주인공 레옹이 입에 달고 살던 말이다. 관청의 말단 서기였던 레옹의 삶은 지루하고 권태로웠다. 그의 불륜 파트너였던 엠마 보바리는 그보다 한 수 위로, "딱딱하게 굳어버린, 만성적 권태의 대가"였다. 권태라는 책에서 피터 투이(Peter Toohey, 1954~ )는권태라는 감정이 "근대의 산물"이라고 말한다. 삶은 견딜 수 없이 진부한 것이 되어가고 있었다. 파리코뮌이 종결되면서 프랑스는 더 이상 정치적인 격동 없이 경제발전을 거듭하는 중이었다. 라파엘전파가 통렬하게 비판했던 황금만능주의와 편협한 속물주의가 삶 전반을 지배했다. 모든 것이 그럭저럭 굴러갔다. 아무도 대단한 주인공이 될 수 없었던 이 시대에는 어떤 새로운 모험도, 진지한 의미도 찾을 수 없었다. 이러한 상황이 권태라는감정을 불러일으켰다. - P90

세상에 행복이 존재한다는 것을 다시 기억하며 잠시나마 마음의 위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중 발군은 르누아르의 작품일 것이다. 르누아르 자신이 유쾌하고 쾌락적인 사람이었고, 당시 파리는 풍경과 시민의 일상 등 어떤 것이든 그리기만 하면 그림이 되는 행복한 시절을 보내는 중이었다. 인상주의 화가가 그린 그림의 주제는 어려운 것이 아니었다. 소풍을 가고, 데이트를 하고, 사랑을 하는 장면이었고, 그배경은 상상 속의 유토피아가 아니라 공원, 강변, 기차역, 실내등 일상의 공간이었다. 보들레르가 이야기한 ‘현대 생활의 영웅주의‘가 르누아르 그림에서는 매우 달달한 어조로 표현되고었다. - P1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