핼리혜성과 신라의 왕위쟁탈전
서영교 지음 / 글항아리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문서에 나타난 혜성 기록을 통한 새로운 시각의 신라사...

과학이 발달하기전에는 자연의 모든 현상 하나하나가 무언의 암시를 주었고 때로는 공포의 대상이기도 했는데 첨단 과학이 생활속 곳곳에 자리잡은 지금도 이러한 신앙은 남아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천재지변으로 인한 신앙은 많이 사라졌지만 종교적인 면을 보면 크게 바뀐것 같지도 않습니다. 신라를 비롯한 고대의 우리의 역사를 봐도 알 수 있지만 그 당시에는 하늘의 의미가 엄청나게 큰 존재였을 것입니다. 인기리에 방영되었던 드라마 미실을 보아도 주기가 돌아와 단순히 생기는 일식을 권력 찬탈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보면 쉽게 이해가 될듯... 분명한 사실은 고대인들에게 혜성은 길조가 아닌 흉조였다는 것입니다.

핼리혜성과 신라의 왕위 쟁탈전... 제목만을 보고는 소설이 아닌가는 생각을 갖기도 했던 이 책은 신라 후기의 정치적 역사의 기록을 혜성과 연관지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신라인들에게 혜성은 어떤 의미로 받아들여졌을까? 저자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사회적, 심리적인 관점에서 하나하나 예를 들어가며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기록은 아주 정직하다고 말하는 저자는 고대문서의 기록을 자료로 제시하며 혜성과 신라의 정권 변화에 대해 논증을 하고 있다는 표현이 더 정확한 것 같네요... 모두 5개의 큰 챕터로 구성되어 있는데 혜성을 노래한 신라의 향가 혜성가, 보덕국의 해체 과정에 혜성의 희생양이 되어야만 했던 보덕성민들, 도솔가가 만들어진 배경(760년 4월 초하루에 두 해가 나란히 나타났는데 열흘이 되어도 사라지지 않자 월명사라는 승려를 불러 도솔가를 지어 불렀고 이 현상이 사라졌다고 합니다.), 천재지변이 계속되었던 혜공왕대의 정변과의 관계, 통일신라후기의 왕들의 연이은 죽음, 장보고의 피살사건의 혜성과의 관계 까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혜성 떨어질라 왕을 죽여라!... 호기심을 자극하는 글로인해 역사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궁금함으로 쉽게 지나칠 수 없는 도서인데 지금까지 깊게 생각하지 못했던 새로운 시각에서 신라의 역사를 바라볼 수 있었습니다. 혜성 출현에 관한 고대인들의 꼼꼼한 기록에 조금 놀라기도 했구요... 학술적인 느낌이 너무 강해 책의 전반적인 분위기가 조금 무겁고 딱딱하여 가독성과 흥미를 조금 떨어뜨리는 것이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글만으로는 조금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도 있었구요... 흥미로운 주제의 내용이라 관심분야라면 누구나 흥미롭게 읽을 수 있을 듯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