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리만자로의 눈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장르소설을 제외하고 순수 소설 중 좋아하는 작가를 가장 먼저 꼽으라고 한다면 헤밍웨이를 꼽을 것이다. 그의 짧은 하드보일드 문체는 그의 글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주고,또한 그의 작품 이외의 생활에서 일어난 여러가지 사건들이 작품 속에 투영되어있기 때문에 그의 작품을 읽는 것 자체만으로도 헤밍웨이의 삶의 일부분을 본 것 같은 느낌을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아이러니하게 아직 그의 작품 중 제대로 읽어본 것은 <노인과 바다>와 이번에 읽은 단편집 <킬리만자로의 꿈>을 포함한 몇 편의 작품들 뿐이다. 많이 알려지고 책으로 나온 작가라 익숙해서 그런지 언젠가는 읽겠지하는 생각 때문에 아직까지 그의 대표 장편들도 읽어보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에 읽은 단편집 <킬리만자로의 눈>이 반가웠다. 이 작품집에는 <킬리만자로의 눈>을 포함하여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온 땅의 눈>,<이제 내 몸을 뉘며>,<가지 못할 길> 등과 함께 에피소드 형태로 수록된 <닉 애덤스 이야기>까지 총 13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들 모두 헤밍웨이의 인생과 낚시,사냥 등 그의 취미와 종군기자,군인 생활 등을 하면서 경험한 삶의 희노애락이 모두 들어가있는 소중한 작품들이다.

 

개인적으로는 두 작품이 가장 눈에 띄었다. 이미 알려진 <킬리만자로의 눈>을 제외하고 <이제 내 몸을 뉘며>와 <프랜시스 머콤버의 짧고 행복한 삶>이었다. 물론 다른 작품들도 헤밍웨이의 예술적 완성도와 그의 경험에서 기초한 꼼꼼한 설명과 묘사,잔잔하게 흘러가는 인생의 한 단면을 가져온 듯한 소재를 살려낸 그의 가독성있는 문체가 빛났던 작품들도 있었지만 이 두 작품이 이들을 대표하는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생각된다. <이제 내 몸을 뉘며>는 헤밍웨이가 1차 세계대전 때 적십자사 운전병으로 참전했을 때 겪었던 일을 바탕으로 해서 쓴 것인데,비교적 잔잔하게 흘러가는 묘사 속에 전쟁이라는 소재를 가져와 굳이 안 맞게 느껴졌지만 헤밍웨이만의 힘있는 문체로 비교적 잘 살려내고 있다. 여기에는 비슷한 내용의 <가지 못할 길>도 포함될 것이다.

 

<프랜시스 머콤버의 짧고 행복한 삶>은 프랜시스 머콤버라는 부자가 아내와 함께 아프리카로 사냥 여행을 떠났다가 겁쟁이라는 망신을 당하고 그 여행에 함께 한 사냥꾼 윌슨이 그 사자를 해치운 순간 아내가 자신을 버린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여기에서의 짧고 행복한 삶이란 머콤버가 변화하는 과정을 말하는 것인데,사자 사냥에 실패하고나서 몸소 물소 사냥을 성공시킨 장면에서 그의 행동변화가 나타난다. 그 변화로 자신감을 찾고 달라진 모습을 아내에게 보여주게 되는 것이다. 이 작품 역시 그의 취미인 사냥을 소재로 인간 내면의 변화를 기묘하게 포착해 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왠만한 작가라도 이 정도의 소재로 이런 작품을 쓰기는 힘들 것이다. 헤밍웨이만의 경험과 필력이 없다면 쓰지 못했을 것이다.

 

위 두 편만 예를 들었지만 다른 작품들도 충분히 매력적이고 힘이 있다. 짧은 대화와 설명을 자주 씀에도 쓸데없는 설명이나 묘사가 나오지 않는 것은 헤밍웨이만이 가진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헤밍웨이를 좋아하게 된 결정적인 이유가 바로 이것이었다. 그래서 쉽게 이해할 수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수록된 작품 모두에 헤밍웨이의 삶이 투영되어있다. 비록 사생활에서는 네 명의 아내와 결혼했고,여러가지 사고로 온 몸이 거의 부상이었을 정도로 힘든 나날을 보냈지만,소설에서만큼은 그런 모습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드문드문 작품에 나오는 죽음도 무섭게 표현되지 않고 잔잔하게 그냥 시간 흘러가듯이 나타나고 있다. 아마 헤밍웨이도 작품 속에서만은 편안한 삶을 살고 싶어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2012/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