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100년의 기억을 찾아 일본을 걷다 - 생생한 사진으로 만나는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징용 잔혹사
이재갑 글.사진 / 살림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얼마 전 TV에서 이 책에 나온 망간 기념관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그 프로그램을 보면서 망간 기념관에 숨겨진 조선인들의 한과,조선 징용인들과 그 당시 같이 일한 일본인 근로자와의 60여 년 만의 어색한 만남을 보면서 지금도 그 한이 다 풀리지 않았다는 것을 실감하게 되었다.

그 일을 계기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에는 프로그램에서 나오지 않은 더 자세한 이야기가 있다. 일본에는 위에 말한 망간 기념관 말고도 곳곳에 조선인의 영혼과 한이 서려있는 장소들이 상당히 많다. 저자가 이 책에서 가본 곳은 단 5곳이었지만,내 생각에는 이보다 더 많을 것이다.

여러 지역은 지금 거의 온전하게 남은 곳이 없다. 그나마 몇 곳은 개발되어 놀이공원이나 대기업 소유의 토지로,아니면 일본 정부가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한다는 어처구니 없는 일로 남아있다. 아직도 일본 정부가 과거를 반성하지 않고 있다는 반증일 것이다. 

그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은 것이 위에 쓴 단바 망간 기념관과 인골댐이라 불리는 히로시마 현 야마가타 군에 있는 오도마리 댐이다. 오도마리 댐에서의 추락사고로 조선인이 댐 아래에 떨어졌는데,일본인이 공사 지연을 막기 위해 떨어진 조선인을 구하려던 다른 조선인을 막고 그대로 아래에 흙을 부어서 생매장시켰다는 충격적인 사실을 알게 된 순간,정말 울컥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이 책에 글보다 오히려 사진이 더 많은 것은 글로 다 설명할 수 없는 것을 사진을 통해 말하려 하려는 작가의 의도도 숨겨져 있다고 생각한다. 이미 한일강제병합 100년,해방 66년이 지났지만,아직도 우리의 가슴 속에 한으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점에서 앞으로 이러한 책이 많이 나왔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 책으로 과거를 잘 모르는 젊은 사람들이 더 많이 알아서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2011/9/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