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월의 미, 칠월의 솔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캬! 정말이지...

난 왜 여지껏 김연수 작가의 소설이 그저 그렇다고 생각해왔을까-_-;

 

<사월의 미 칠월의 솔>은 2008년 여름부터 2013년 여름까지 김연수작가가 쓴 단편소설을 모은 책이다. 이런 단편소설 집을 읽다 보면 어떤건 참 좋은데, 어떤 건 별로고.. 뭐 그런게 있다. 어떤 단편 소설집은 대표작 한두편을 제외하고는 너무 실망스러워서 읽는내내 실망, 실망, 실망... 그랬던 적도 있었다.

 

그런데 이 소설집은 읽은 소설들이 하나같이 참 좋았다.

 

김연수 작가의 작품세계에 대해서 내가 섣불리 단정지을수는 없는 것이겠지만..

이 책 속에서 본 김연수 작가의 작품의 느낌은.. 음..

영문과 출신이시라 그런지 영문학의 기반이 있다고 느끼는 부분도 분명히 있었지만

기본적으로 정직하고 순수하며 ..착하고..  냉정한듯 따사로운 시선을 가진 묘한 느낌이었다.

신경숙 작가의 소설처럼 가슴 깊이 아린 감정이 저며 오는 느낌은 없었지만,

쿨하면서도 부드러운 손길로 담담히 때론 위트있게 가슴을 두드려오는 느낌이...

그래 뭐, 두말할 나위없이 좋았다.

 

마지막에 작가의 말을 펴서 읽어 보는데..

문득 이 책 전체에서 느껴지는 김연수 작가 소설의 느낌이 고스란히 담긴 부분을 발견했다.

 

아마 이 책의 편집자도 그렇다고 느꼈는지 이 책에 대한 광고 카피로도 그 중 한 문장을 인용했다.

나는 실은.. 그 문장의 뜻을 굉장히 오해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이 작가의 말을 보고 나서야 알게 되었다.

 

이 책에 실린 소설들을 쓰는 동안, 나는 내가 쓰는 소설은 무조건 아름다워야만 한다고 생각했다. 실제 이 세상이 얼마나 잔인한 곳이든, 우리가 살아온 인생이 얼마나 끔찍하든, 그런건 내게 중요하지 않았다. 여기까지가 우리의 끝이라고 해도, 그럼에도 여기 실린 소설들을 쓰는 2008년 여름부터 2013년 봄까지 5년 동안만은, It's OK. Baby, please don't cry. 내가 쓰는 소설에 어떤 진실이 있다면, 그건 그날 저녁, 여행에 지친 우리가 조금의 의심도 없이 야즈드의 불빛이라 생각했던, 지평선을 가득 메운 그 반짝임 같은 것이라고 믿었으니까. 중요한 건 우리가 함께 머나먼 지평선의 반짝임을 바라보며 천천히 나아가는 시간들이라고, 그게 야드즈의 불빛이라서, 혹은 야즈드의 불빛이 아니라고 해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