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마 주니어 중학 국어 어휘력 1 - 내신 만점을 위한 중학 숨마 국어 어휘력 1
이룸E&B 편집부 엮음 / 이룸이앤비 / 201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중1 국어 교과서 어휘를 383개 25일 완성하는

내신만점을 위한 중학 국어 어휘력

 

막내가 다니는 학교는 자유학년제로 인해서 1학년 지필시험이 없습니다.

이런 시기들이 부족함을 채우는 아주 좋은 시간이기도 하지만

자칫하면 학년에 학습해야하는 부분까지 놓치며 공백이 생길 수 있답니다.

물론...아이들마다 어떻게 시간을 보내느냐에 따라 달라지겠죠!!

 

내일이면 12월이니... 1학년을 돌아보니 대체적으로 빵구가 뻥!뻥!!!

2학년 올라가기 전에 빠듯하게 챙겨야하겠더라구요.

국어 학습중에 어휘력은 숨마주니어 중학국어 어휘력으로 꽉꽉 채우려 합니다.

중1 국어 교과서 어휘를 383개 25일 완성할 수 있으니 달려야죠!!

 

 


 

 

모든 공부의 기본 중에 기본은 어휘력!

 

어휘가 왜 필요한지? 어떻게 공부해야하는지? 이야기해주네요.

하루에 15단어씩 25일만 학습하면 중등 교육과정의 어휘학습은 끝낼수 있답니다.

영어단어 외우는 것 보다 쉬울 거라 생각합니다.

 

 

 




 

중학교과서 9종에서 필수 어휘들을 선정했습니다.

학교마다 출판사별 교과서들이 다 다르죠.

국어 교과서 9종 교과서에서 중학생이 꼭 알아야 할

필수 어휘 383개 및 예문을 국어 선생님이 직접 표제어로 선정하였답니다.

 

파트별로 나눠져서 배우게 될 어휘들을 전체적으로 차례에서 살펴볼수 있구요.

빨간색으로 표시되어있는 단어는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개념어 입니다.

 

 


 

 

 

어휘 25일을 완성할 수 있는 계획표를 제시해주고 있는데요.

차례대로 1일차씩 나눠져 있지만,

파트별로 돌아가면서 1일차씩 번갈아가면서 학습해도 좋을 것 같아요

 

학습하면서 자신에 맞게 학습하면 되지만

학습한 날짜 체크해두면서 25일 목표로 한권을

끝내겠다 생각하고 시작하면 좋을 것 같아요!

 

저희도 하루에 1일차씩 학습하기로 했답니다

 

 


 

교과서 필수 어휘 시에 나오는 어휘에 대해 배웁니다.

 

필수 어휘가 나오고 그 뜻에 대해 알려줍니다.

그리고 예문도 함께 알려줍니다.

그러니 예문을 통해서 필수 어휘의 실제 쓰임새가

어떻게 쓰여지는지 알수 있습니다.

어디에서 발췌했는지도 알수 있구요.

 

 

 


 

 

어휘중 비유 비유는 시험에 꼭 나오는 필수 개념어에 대한 설명도 해줍니다.

비유의 종류 그리고 예문까지 알려줍니다.

국어학습에 있어서 필요한 중요 개념어에 대한 설명은 각 일차별로 1개에서

많게는 3개가 수록되기도 합니다.

 

 


교과서 필수 어휘는 공부한 표제어를 확인 문제를 를통해서 반복하며 학습합니다.

괄호넣기, 빈칸 채우기, 줄 긋기, 십자말풀이, 말상자에 단어 찾기등

다양한 유형으로 구성되어있고 앞서 배운 내용들을 확인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채점은 반드시 해야겠죠.

틀린 문제들은 다시 한번씩 반복적으로 읽어보고 풀어보며 넘어갑니다.

 

 

 

 

#이룸이앤비 #중학국어 #중등국어 #중학어휘력 #중등어휘력 #국어9종교과서어휘 #어휘기본서 #숨마주니어


 

 

개념어 적용문제는 내신 대비로 국어시험이 어떻게 나오는지 알 수 있습니다.

어렵게 느껴질수 있지만 중학교 과정부터는 개념어를 많이 알아야하고

학교시험대비는 물론 더 나아가 수능까지 연결되기도 하기 때문에

문제가 어렵다면 앞에 필수 개념어 설명을 참고하면서 꼼꼼히 풀 수 있도록 합니다.

 

 

중학국어 어휘력은 중1 국어 교과서 필수 어휘를 383개 25일에 완성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으며

한자어, 개념어, 속담, 관용어. 한자성어, 순수우리말, 시, 소설, 수필, 설명문, 논설문등

자주 나오는 주요어휘들을 수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요어휘는 예문을 통해서 어휘의 실제 쓰임도 알 수 있으니

중학 국어 실력을 완성시킬 수 있는 국어 어휘력의 기본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