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각의 제국 - 몸과 마음을 지배하는 감각의 모든 과학
문동현.이재구.안지은 지음 / 생각의길 / 2016년 3월
평점 :
품절


각(感覺) : 눈, 코, 귀, 혀, 살갗을 통하여 바깥의 어떤 자극을 알아차림. (네이버국어사전)

감각은 우리가 살아있다는 증거다. 물론 고통을 느끼는 것은 그리 즐거운 일이 아니지만, 아침에 눈을 떠 잠자리에 드는 시간(잠을 자는 순간까지도)까지...우리의 몸은 모든 기관들을 통해 세상을 느끼고 경험한다. 어릴 적에는 놀다가 넘어지거나 다치는 일들이 많아 고통을 느끼지 못하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적도 있기도 했는 데, 책을 통해 그것이 축복보다는 고통이라는 것을 알고나니 감각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새삼스러울 정도다.

총 3부로 구성된 책은 우리가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코로 맡고, 혀로 맛보고, 피부로 느끼는 촉각과 같은 생물학적인 감각을 포함해 인간만이 느끼는 공감각까지 포함한 모든 감각을 다룬다. 

1부에서는 선천적으로 감각이 예민한 사람들에 대한 사례들로 감각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한다. 많은 사람들이 원하지만, 오히려 그로 인해 일상의 많은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무통각증 환자를 포함해 모든 감각이 고통인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무한증과 같은 사례들을 통해 감각이 어느 한쪽에 치우치게되면 삶 자체가 불편하게 되는지를 통해 감각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2부 감각의 우주에서는 감각의 중추인 뇌의 기능에 대해 알려준다. 1장에서 언급한 비정상적인 감각과 2부의 뇌의 기능을 통해 감각이란 몸과 정신이 균형을 이루어야만 온전히 느끼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면 그때부터 질병의 형태가 되버리기 때문이다. 

3부에서는 호모 사피엔스만이 느끼는 감각과 공감에 대해 이야기한다. 우리의 뇌는 용량과 에너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공감 능력이 필요한 쪽으로 진화했다고 한다. 혼자가 아닌 집단을 이루어 살기 떄문에 가능한 능력이라고 본다. 나무가 생존하기 위해 숲은 이루며 사는 것처럼 말이다. 책에는 사람의 눈을 보면서 그 사람의 정서상태를 맞추어보라는 예시가 있다. 생각보다 감정을 맞추는 것이 쉽지 않은데. 책은 다양한 감정을 느끼고 공감하는 능력은 생존을 결정짓는 도구라고까지 말한다. 사회생활을 잘하려면 어느 정도의 포커페이스가 필요하다는 말을 듣곤 하는데, 공감능력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하는 장이다. 
분명한 것은 앞서 언급한 신체적인 감각처럼 정서적 감각 또한 어느 정도의 균형감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타인에 대한 공감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 중에 범죄자가 많다는 것은 그것을 잘 보여주는 사례다. 


산소가 없으면 살 수 없지만, 평소에는 산소의 중요성을 모르고 살 듯, 감각도 마찬가지다. 작은 자극에도 불평을 하고 하는 데, 그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평소에는 생각해보지 않았던 감각의 중요성과 기능에 대해 알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매 순간 외부로부터 받는 자극을 느끼고 경험하는 것. 바로 건강한 삶의 시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