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타인의 욕망을 욕망하는가 - 타인 지향적 삶과 이별하는 자기 돌봄의 인류학 수업 서가명강 시리즈 28
이현정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면서 "남들 보기에~"로 시작하는 말을 들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나 역시도 자라면서도 끊임없이 남들의 시선을 신경 쓰라는 말을 들어왔다. 별스러운 행동을 해서가 아니라 남들과 비교해 튀지 않는 행동과 태도를 가져야 한다고 말이다.


대한민국에서 사는 대다수의 사람들은 자의적이든 타의적이든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며 살아간다. 내가 입고 쓰고 먹는 것보다 남들이 무엇을 입고 쓰고 먹는다. 정확하게는 내가 원해서가 아니라 타인이 기준이 되는 삶. 왜 우리는 그토록 타인을 의식하며 살아갈까.

전문가들은 그 원인을 한국인의 관계지향 의식과 생태에서 원인을 찾는다. 시작은 한국의 가족주의다. 전쟁 직후 불안한 현실에서 가족과 주변인들의 조언은 삶을 결정하는데 큰 도움이 됐을 것이다. 그러다 보니 개인의 결정에 타인이 개입할 여지가 많아지고 높은 인구밀도와 지연과 학연 등으로 얽힌 인간관계로 점점 더 관계지향적 성향이 커지고 있다는 말이다. 그 결과 삶의 기준이 내가 아닌 타인이 되고 천편일률적인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우리는 왜 타인의 욕망을 욕망하는가』는 몸, 가족, 젠더 문제를 통해 우리가 얼마나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고 타인의 욕망이 지배하는 삶을 사는지 고찰한다.


몸을 보자. 몸은 가장 빠르고 쉬운 판단 기준이 돼버렸다. 체중이 조금만 증가해도 게으르거나 자기관리에 소홀한 사람으로 취급을 받는다. 미디어는 뷰티, 헬스, 패션 업계가 원하는 이상적인 체형을 제시하고 대중들은 자기관리라는 미명 아래 끊임없이 타인의 시선에 몸을 맞춘다. 내 몸이지만 내 몸이 아닌 거다.


가장 작은 사회인 가족의 문제를 보자. 현대사회가 되면서 다양한 가족의 형태가 등장하고 있지만 우리사회는 여전히 과거부터 이어진 가족의 형태만을 법적으로 보호한다. 몇 년 전 한 방송인이 해외에서 인공수정을 해 아이를 출산해 화제가 됐는데 그녀가 한국에서 인공수정을 하지 못한 이유는 미혼이 인공수정을 받는것은 불법이어서다. 인구감소를 우려하면서도 우리 사회는 아빠, 엄마, 자녀로 구성된 가족만을 '정상가족'의 범주에 둔다. 한자녀 가정이나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들은 사회의 불편한 시선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그러나 인구절벽을 눈앞에 두고 언제까지 과거의 형태만 고집할 것인가.


책을 통해 우리사회에 뿌리내린 깊은 차별과 편견을 만나게 된다. 관계지향적인 사회는 결국 타인과 다른 모든 형태를 비정상적으로 규정하고 자기 자신보다 타인의 삶만을 따라가게 되고 결국 우울증과 갈등지수, 자살률 증가로 이어진다.


삶의 기준을 잡는 일은 쉽지 않다. 우리 주변에는 수 많은 유혹이 존재하고 미디어의 발달은 타인의 욕망을 나의 욕망으로 착각하게 한다. 그러나 그럴 수록 한 걸음 물러나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와지는 연습을 해야한다.


무인도에 혼자 사는 것 같은 삶을 살라는 말이 아니다. 타인과 사회와 함께 하며 나만의 기준을 세우고 천편일률적인 삶에서 벗어나는 방법. 책을 읽으며 방법을 함께 모색해 보길 바란다. 내 삶의 주인은 결코 타인이 될 수도 되어서도 안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