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이야기 - 그 거룩하면서도 불가사의한 존재에 대해 묻다 EBS CLASS ⓔ
정진홍 지음 / EBS BOOKS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반적으로 사교모임에서는 금기시되는 화제 세 가지가 있는데, '정치', '종교', '성'이다. 가장 개인적인 민감한 영역에 해당하고 화제를 잘 못 이끌 경우 분란을 가져오기 쉬워서다.


신(神). '종교의 대상으로 초인간적, 초자연적 위력을 가지고 인간에게 화복을 내린다고 믿어지는 존재'를 통칭한다. '신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마라'라는 말은 대다수의 종교에서 하는 말이지만 왠지 우리나라에서 신에 대한 이야기가 지나치게 노골적이다.


처음 보는 사람이 종교를 묻거나 권하고 종교인들이 범죄를 저지르고도 반성하지 않고, 각종 미디어에서 종교인의 옷을 입고 정치적 발언들을 여과 없이 드러내며 심지어는 자신의 말을 듣지 않으면 혼난다는 말을 듣기도 한다. 그런 광경들을 볼 때마다 신이 정말 만만한가 보구나..라는 생각이 들곤 한다.

왜 그런 일들이 벌어질까. 『신 이야기』를 통해 이유를 찾아보자.


이 책은 특정 종교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종교학자인 저자는 종교를 넘어, 역사, 사회, 심리 등 다방면으로 신이라는 존재에 대해 고찰한다. 그리고 전적으로 '인간'의 관점으로 신을 바라본다.

당연하다. 채 백 년도 살지 못하는 유한한 인간이 완전무결하고 온전한 신에 대해 어떻게 논할 수 있겠나.

저자는 인간의 역사를 통해 신과 종교와의 관계와 의미, 관계 맺음에 대해 들려준다. 그래서 이야기의 화제도 고향, 주거, 살아가는 방식 등이다. 신에게는 필요 없지만 인간에게는 모두 필요한 것들이다.


책을 읽으며 생긴 가장 큰 궁금증은 인간은 왜 그토록 '신을 갈망했나'다.

인류는 모든 세대, 모든 문화권에서 원하는 형태로 신을 창조하고 갈망했다. 처음에는 두려움에서였다. 혹독한 자연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안전을 보장받고자 신을 만들었다. 인간들의 고향이 신의 고향이 되고 정착생활을 시작하면서 신은 자연에서 집안으로 거주지로 옮겨졌다. 

사실 신에게 '주거지'가 필요할 리가 없음에도 인간들은 다양한 형상으로 신을 집안에 두고 활동 범위를 규정했다. 저자는 이를 폐쇄적으로 신을 규정했다고 정의한다. 이는 교회에도 적용된다. 어떻게 신이 교회 안에만 머물 수 있겠나. 인간이 그곳에 있기 때문에 신이 그곳에 있다고 말할 뿐이다. 신이 어떤 '사람'인가도 같은 맥락이다. 신을 그려보라고 하면 대부분 수염이 난 할아버지를 그리는 이유는 인간이 신의 형상을 창조해서다.


'일상을 사건화하면서 그 사건 속에서 신을 만나 더불어 사는 게 신과 함께 사는 것'이라는 문장이 마음에 들었다. 신을 자신의 욕망을 위한 도구로 사용하지 않고 더불어 사는 것. 신과 인간의 관계를 가장 잘 정의한 문장이다.


특정 종교에 국한하지 않고 '왜'라는 관점으로 시작해 '어떻게'라는 방식으로 관계성을 찾아보자.

무신론자들에게는 사람들이 왜 그토록 신을 찾는지. 유신론자들에게는 신과 나와의 관계를 정의해 보기에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