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청 - 잃어버린 도시
위화 지음, 문현선 옮김 / 푸른숲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국 역사상 가장 혼란스럽고 피가 난무한 청말 민국 시대. 눈바람이 치는 시진 시에 젖먹이 딸을 안고 아기 울음이 들리는 집마다 다니며 동냥젖을 청하는 한 남자가 나타난다. 황허 북쪽에 살던 린샹푸로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였지만 400무의 전답을 가진 부자로 글과 가구 만드는 재주가 남달랐다. 천성이 선한 그는 주변 사람들에게 성심을 다하지만 스물네 살이 될 때까지도 마땅힌 혼처를 정하지 못하던 그의 삶은 어느 날 아창과 샤오메이라는 남매가 하룻밤 지낼 수 있냐며 집을 방문하면서 크게 바뀐다. 


아창은 여동생 샤오메이를 린샹푸에게 맡기고 길을 떠나고, 함께 지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두 사람은 정을 나누고 부부의 연을 맺는다. 이제서야 온전한 가정을 이루게 되었다며 부모님께 안심하시라 하지만 행복도 잠시. 샤오메이는 린샹푸가 가진 금덩이 중 3/1을 훔쳐 사라진다.




린샹푸는 아내의 가출에 큰 배심감을 느끼고 그녀를 잊으려 하지만 몇 달이 지나 출산을 앞둔 샤오메이가 돌아온다. 말 없이 떠났지만 린샹푸는 그녀를 받아들이고 정식 혼례를 올리고 딸을 낳는다. 그러나 딸이 태어나고 한 달여가 지난 어느 날 샤오메이는 또다시 종적을 감춘다.

샤오메이는 왜 돌아왔고 다시 떠나버린 것일까. 첫 번째 가출 때는 그녀를 잊어보려 노력했지만 이제는 그때와 다르다. 딸에게 엄마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그는 아버지 때부터 집과 땅을 관리해 온 톈시 형제에게 집안일을 맡기고 젖먹이 딸을 안고 샤오메이의 고향을 찾아 나선다.



제목인 『원청: 잃어버린 도시』은 아창이 말한 고향을 지칭한다. 원청(文城)의 정확한 위치를 모르는 린샹푸는 그들이 온 길을 따라가며 남매의 어투와 비슷한 도시를 찾아 나서고 시진에 도착한다. 그곳에서 딸 린바이자에게 먹일 동냥 젓을 청하다 만난 천융량과 의기투합해 목공소를 차린다. 손재주가 뛰어난 린샹푸의 실력이 입소문이 나면서 둘은 1000무의 땅을 가진 지주가 된다.



단지 실력이 좋아서 큰 부자가 된 것만은 아니었다. 시간이 날 때마다 샤오메이를 찾아 빈집을 찾아다니던 그는 언젠가 돌아올 집주인을 위해 무상으로 창틀과 문을 수리해 주었고 마을 사람들의 신망을 얻게 된다.


답답하리만큼 선하고 우직한 사람이다. 이런 사람을 왜 떠났을까. 책을 읽을수록 함께 샤오메이를 찾아 나서게 된다. 그렇게 평화로운 십여 년이 흐르고 린바이자는 정혼을 하는 나이가 된다.

하지만 평화로움도 잠시. 린샹푸와 찬융량도 폭풍처럼 몰아치는 시대를 피해 갈 수는 없었고 잔인한 토비들에게 아이들이 잡혀가면서 삶과 죽음의 아슬아슬한 위기가 연이어 이들에게 들이닥친다.



격동의 시기에는 토비나 혁명군이나 별반 다르지 않다. 그들은 무법자처럼 평범한 이들의 삶의 터전을 파괴하고 소중한 사람들을 앗아간다. 큰 욕심내지 않고 그저 하루를 살고자 하는 이들에게 왜 이런 고난과 슬픔이 연이어 닥치는지... 다른 나라의 역사임에도 안타깝고 마음 한편이 아파온다.


소설은 린샹푸를 통해 선한 사람의 삶에 대해 이야기한다. 어떤 역경과 배신 앞에서도 린샹푸와 찬융량의 아내 리메이렌은 신의를 저버리지 않는다. 한결같은 마음과 태도로 사람들을 대하고 불의의 시대에 맞서는 것을 보면서 선함이란 어떤 것인지 생각하게 한다. 물론 모든 이들이 다 선하진 않다. 당연하다. 믿던 이들에게 배신을 당하고 죽음을 맞지만 선함은 결국은 전해진다는 것을 보게 된다. 병마에도 도련님을 찾아 시진으로 향하고 결국 오면서 죽은 텐시의 큰 형과 여전히 주인이 떠난 집을 돌보고 농사를 짓는 텐시 형제들을 보면서 어떻게 '살아걸 것인가'라는 생각을 하게된다.



슬프지만 잔잔하고 위대한 이야기다. 세상이 아무리 험난할지라도 인간다움을 지키는 삶을 만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