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종이라는 신화 - 인류를 현혹한 최악의 거짓말
로버트 월드 서스먼 지음, 김승진 옮김 / 지와사랑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종(人種, race)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면 명사 "인류를 지역과 신체적 특성에 따라 구분한 종류. 백인종, 황인종, 흑인종이 대표적이다."이라 정의하고 있다.

사전에도 정확하게 명시되어 있는 인종에 대해 저자는 생물학적 인종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단언한다. 개체의 외견상 차이는 존재하지만 유전적으로는 단일한 종이라는 의미다.


놀라운 사실은 이와 같은 사실을 1950년에 유네스코에서 발표한 내용이라는 점이다. 무려 70여 년도 전에 일이다. 그런데 왜 우리는 여전히 인종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을까.



인류학자인 저자는 생물학적 개념인 인종이 어떻게 정치, 문화, 종교적 개념으로 받아들였는지 이른바 우생학이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 그 시작을 알려준다.

이런 구분에 종교가 가장 앞장 섰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초기 그리스도인, 히브리인, 그리스인들은 종교로 서로를 구분해왔고 스페인 종교재판은 유태인 혈통을 가진 이들을 주류에서 구분하기 위해 종교를 이용했다. 이 재판을 통해 순수하지 않는 혈통이라는 개념이 탄생했고 이후로 500여 년이 넘는 시간 동안. 인종적 차이는 혐오와 편견의 대상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책을 읽으며 우생학이 얼마나 과학적 근거가 빈약한지, 어떤 의도로 인종주의가 이용되었는지를 보며 그동안 우리가 얼마나 인종이라는 거짓말에 속아왔는지 알게 된다. 물론 무지에서 비롯되기도 했지만 이른바 우월주의에 근거해 적극적으로 이를 받아들였다는 것도 관과 할 수 없는 사실이다.




책은 서양 중심의 인종주의의 역사를 담고 있지만 우리는 어떤지 자문해 보는 시간이 되기도 했다. 순혈주의까지는 아니어도 우리 또한 국민의 결속을 다지고, 국가의 부를 달성하기 위한 정치적 의도에 따라 오랜 기간 "단일민족"이라고 믿어오지 않았나. 이미 생물학적으로 단일민족이 아님이 밝혀졌어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우리는 단일민족이라 믿으며 인종차별을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책에 실린 내용들이 우리와 전혀 무관하지 않다는 의미다.


나 혹은 우리는 특별하다는 인식은 공동체를 결속시키는 가장 쉬운 수단이지만 지난 역사를 통해 얼마나 큰 비극을 초래했는지 잘 알고 있음에도 왜 우리는 이 인종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일까.

책을 읽으며 그 비극의 고리를 어떻게 하면 끊을 수 있는지. 고민하게 된다.


무엇보다 우리 아이들에게 다양한 인간 다양성에 경이로움을 알려줘야 하며 세계에 존재하는 인종의 다양성을 누릴 수 있게 해야 하는 소명이 있음을 이제는 깨달아야 한다. 수 백년간 뿌리깊게 자리잡은 편견과 혐오를 단시간에 뿌리뽑을 수는 어렵지만 "혐오를 지지하지 말라"는 변정주 감독의 말처럼 정치와 이념, 종교를 넘어 혐오가 포용과 사랑에 더 집중해야 공생의 답이 있음을 깨닫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