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지평선 - 우리가 우주에 관해 아는 것들, 그리고 영원히 알 수 없는 것들
아메데오 발비 지음, 김현주 옮김, 황호성 감수 / 북인어박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지막 지평선』 의미심장한 제목이다. 인류는 늘 지평선 너머를 보고 싶어 했고 대륙과 대항을 넘나들며 탐험을 멈추지 않았다. 제목인 마지막 지평선은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있는 마지막 탐험지에 대한 열망이자 도전의 역사를 담은 제목이다.


인류가 달에 첫발을 내딛은지 50여 년이 지나고 화성 탐사와 정착을 꿈꾸는 지금도 우주는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있다. 그럼에도 인류는 오래전부터 하늘을 바라보며 별의 위치를 찾았고 우주의 신비를 파헤쳤다. 생각해 보면 정말 대단한 일이다. 우주탐사는 대륙의 탐사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의 지식과 기술, 비용과 인내가 필요한 분야기 때문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우주에 대한 관심이 전문가의 영역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왜냐면 우리 모두 별의 일부분이고 우주는 우리 삶의 시작이자 터전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너무 많이 회자되어 진부하다고 말하면서도 우리는 별이 남긴 먼지임을 강조한다. 끝도 없이 광활한 우주의 잔재가 모여 나를 만들었다고 하면 존재 자체가 대단하게 느껴지고 그럴수록 우주에 대해 더 알고 싶어진다. 책은 그런 일반인들도 우주에 대한 궁금증을 채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저자는 빅뱅, 허블상수, 우주상수, 일반상대성이론, 특수상대성이론 등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이론들을 설명하며 우주에 관해 갖는 궁금증을 문답식으로 설명한다.




137억년의 역사에서 겨우 백년을 사는 인간이 우주의 신비를 다 알 수는 없지만 관심을 가지고 하늘을 쳐다보는 한, 언젠가는 인류의 마지막 지평선에 도달하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