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좋아하는 갯벌 (보급판) - 세밀화로 그린 어린이 갯벌 도감 세밀화로 그린 어린이 자연 관찰 (무선) 3
유현미 지음, 김준영 그림 / 호박꽃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밀화로 그린 어린이 자연관찰

<내가 좋아하는 갯벌>

웅진주니어 호박꽃자연관찰은 세밀화로 그린 어린이 자연관찰이예요.

『내가 좋아하는 시리즈 』는 아이들의 눈높이에 꼭 맞는 자연관찰로

정성을 다해 그린 세밀화로 생생한 자연을 만나볼 수 있답니다.

모두 20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생생하게 묘사된 세밀화가 참 멋진 책이예요.

개인적으로 사진으로 된 자연관찰보다는

따뜻한 느낌이 있는 세밀화 자연관찰을 참 좋아하는 편인데요,

호박꽃자연관찰도 아이들이 보기에 참 좋은 세밀화 자연관찰이네요.

동물원, 과일, 새, 채소, 가축, 풀꽃, 물새, 야생동물, 곤충,

식물원, 갯벌, 나무, 꽃 등 정겨운 동물과 식물을 생생하게 만나볼 수 있어요.

이번에 읽어본 책은 아이들이 좋아하는 갯벌 생물이 가득한

<내가 좋아하는 갯벌>이예요.

이 책에는 꼬막부터 갯지렁이까지 다양한 갯벌 생물 64종이 실려 있어요.

 

 

우리 갯벌은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좋은 갯벌이라고 해요.

작년에 서해 갯벌에 세 번정도 아이들과 갔었는데 너무 좋아하더라구요.

바닷물이 빠지면 서서히 드러나는 신비로운 땅 갯벌에서

다양한 생물들을 만나보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낸 추억이 있답니다.

갯벌에 가면 예쁜 조개껍데기도 줍고 게도 잡을 수 있어요.

고운 뻘에서 마음껏 소리치고 뒹굴며 놀아도 신이 나죠.^^

다양한 갯벌 생물을 만나면서 신나게 놀고 주워온 빈 고둥 껍데기예요.

이번에 아이들과 <내가 좋아하는 갯벌>을 읽다보니

갯벌에서 주워온 것이 큰구슬우렁이와 피뿔고둥의 껍데기더라구요.

<내가 좋아하는 갯벌>에는 우리 갯벌에 사는

재미있는 갯벌 생물이 64종이나 실려 있어요.

순천만 고운 뻘에서 나는 꼬막부터 강화에서 본 갯지렁이까지

다양한 갯벌 생물을 세밀화로 생생하게 만나볼 수 있답니다.

 

 

갯벌에 가면 신기한 갯벌 생물도 많고 놀거리가 많아서 신이 나지요.

겉으로 보기에는 거무튀튀하고 지저분해 보이는 갯벌이지만

셀 수 없이 많은 생물들이 살고 있음에 놀라기도 한답니다.

이 책에는 짱뚱어, 불가사리, 성게, 농게, 달랑게, 도둑게, 밤게, 갯강구,

따개비, 바지락, 맛조개 등 갯벌에 가면 만날 수 있는 생물들이 실려 있어요.

꼼꼼하게 보여주는 세밀화와 함께 정보도 가득하답니다.

갯벌에 가면 만날 수 있는 짱뚱어의 여러 모습이 세밀화로 표현되어

마치 갯벌에서 짱뚱어를 보고 있는 느낌이 들기도 해요.

갯벌에 아주 많은 불가사리는

잘 죽지 않는다고 '불가사리'란 이름이 붙었다네요.

배 쪽에 달린 수많은 발이 '관족'이라는 것도 알아갑니다.

갯벌에 가면 생각보다 많은 생물들이 살고 있음에 놀라게 되더라구요.

바닷물이 밀려간 젖은 모래밭에는 수없이 작고 동글동글한 모래 뭉치가 있어요.

요게 뭘까? 하고 아이들하고 관찰하곤 했는데

바로 염낭게가 모래를 먹고 걸러낸 흔적이라고 하네요.

아주 조그마한 게들을 수없이 보았는데 그 게들이 염낭게였던가 봐요.

염낭게는 일명 콩게로 크기가 1cm 안팎이라고 해요.

갯벌에는 농게, 염낭게, 달랑게, 칠게, 도둑게 등 게 종류가 많아요.

이와 함께 다소 징그럽게 보이는 갯강구도 수없이 보게 되는데요,

'갯강구'는 바닷가에 사는 바퀴벌레로 바닷가 청소부라고 하네요.

따개비 역시 갯벌에 가면 많이 보게 되는 갯벌 생물이죠.

어디에든 달라붙는 따개비는 심지어 조개껍데기나 고래등에도 붙더라구요.

어릴 때는 물에 떠다니다가 조금 자라면 딱딱한 곳에 꼭 붙어서 산대요.

다양한 세밀화와 함께 알찬 정보가 가득한 <내가 좋아하는 갯벌>이예요.

갯벌에 가면 바지락도 많이 캐는데 왜 바지락이라고 부를까요?^^

호미로 캘 때 '바지락바지락' 소리가 난다고 '바지락'이래요.

바지락은 맨손으로는 캘 수 없고 호미나 도구를 이용해서 캐야 해요.

자갈이나 부서진 조개껍데기가 섞인 갯벌에서 많이 나기 때문인데요,

깊이 파지 않고 얕은 곳을 살살 파면 나오더라구요.

작년에 갯벌에서 가무락조개를 많이 캤었는데 이름은 이제서야 알았네요.

껍데기가 까맣다고 '가무락조개'라고 부른대요.

조개 중에 으뜸인 '백합'도 몇개 캐긴 했는데 캐는 요령이 있나봐요.

맛이 좋은 맛조개는 잡는 방법도 참 신기합니다.

작년에 갯벌에 갈 때 소금을 챙겨갔었는데 그림에 있는 것처럼

맛조개 구멍에 소금을 넣고 기다리면 맛조개가 쑥 올라오더라구요.

그러면 얼른 잡으면 된답니다.^^

갯벌 바닷가에 굴러 다니던 껍데기가 큰구슬우렁이와 피뿔고둥의 것이였군요.

껍데기가 커서 화분에 두려고 몇 개 주워왔었는데

이름은 이제서야 알게 된 것 같아요.

빈 피뿔고둥 껍데기에 귀를 대면 쏴아 파도소리가 들린다죠.^^

작년에 아이들과 직접 해보았는데 정말 파도소리가 들리더라구요.


 

아이들은 갯벌을 참 좋아하는 것 같아요.

다양한 갯벌 생물도 볼 수 있고 직접 잡으면서 놀 수도 있거든요.

작년에 갯벌에 세 번정도 갔었는데 정말 신나게 놀았던 기억이 납니다.

갯벌에 가면 참 많은 갯벌 생물을 보게 되는데

이렇게 다양한 갯벌 생물을 따뜻한 느낌의 세밀화로 만나볼 수 있네요.

아이들과 갯벌 갈 때 챙겨가기에도 참 좋은 책인 것 같아요.


 

아이들에게 갯벌은 참 재미있고 즐거운 곳이예요.

갯벌에 가면 조개도 캐고, 게도 잡을 수 있고, 마음껏 뛰어놀 수 있거든요.

작년에 갯벌에 갔었던 이야기를 하면서 <내가 좋아하는 갯벌>을 읽어봅니다.

따개비랑 염낭게 봤던 이야기며 집게를 봤었던 이야기도 하더라구요.

갯벌에 갔을 때 낙지는 캐보지 못했는데

낙지는 우리가 흔히 머리라고 생각하는 부분이 몸통이라고 해요.

몸통과 다리 사이에 머리가 있는 것인데 참 신기해하는 홍군이랍니다.​

바지락은 바닷물이 빠졌을 때 갯벌에서 오랫동안 캔 기억이 있어요.

허리가 아픈 줄도 모르고 오랫동안 바지락을 캤더니

나중에는 허리를 펴고 일어설 수가 없더라구요.^^

경험이 있으니 아이와 더 재미있게 볼 수 있는 <내가 좋아하는 갯벌>이예요.



 

굴과 홍합도 읽어보고 꼬막도 살펴봅니다.

우리가 흔히 홍합이라고 생각해서 먹는 것은 지중해담치라고 하네요.

홍합은 커서 15cm가 넘는 것도 있는데 조금 깊은 물에 산다고 해요.

질퍽거리는 뻘갯벌에 사는 꼬막은

나무판으로 만든 뻘배를 밀고 다니면서​ 잡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지요.

이와 비슷한 것으로 피조개가 있는데

피조개는 꼬막보다 훨씬 크고 조갯살에 붉은 피가 있다고 해요.

갯벌의 다양한 생태를 세밀화로 표현한 <내가 좋아하는 갯벌>~!!

사진으로만 만나는 갯벌 이야기보다 훨씬 재미있게 느껴지더라구요.

​어린이용 도감이지만 어른이 보기에도 재미가 있네요.

<내가 좋아하는 갯벌>을 재미있게 읽어보고 미니북을 만들어봤어요.

불가사리, 말미잘, 성게, 민꽃게, 바지락 등을 그렸더라구요.^^

세밀화는 손으로 직접 그린 그림이라서 따라 그리기도 수월한 것 같아요.

우리 꼬맹이도 형이 그림 그리는 것을 보더니

이렇게 민꽃게와 농게를 얼른 그렸답니다.^^

제법 꼼꼼하게 잘 그린 것 같아요.

산이나 물가에 갈 때 챙겨가기에 좋은 『내가 좋아하는 시리즈 』~!!

​저자와 삽화가가 글과 그림으로 생명의 현장을 기록해서

더 생생하게 느껴지는 호박꽃자연관찰이예요.

교과서동물, 교과서식물로 교과연계하기에도 좋은 시리즈인 것 같아요.

우리 곁에서 흔히 보는 정겨운 동물과 식물을 생생하게 만나볼 수 있어서

초등저학년자연관찰​로도 정말 좋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이들과 호박꽃자연관찰 20권 중에서 5권을 만나보고 있는데

새, 풀꽃, 곤충, 식물원 등의 이야기도 궁금해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