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권으로 끝내는 세상의 모든 과학 - 빅뱅에서 미래까지, 천문학에서 인류학까지
이준호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1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138억년의 파노라마 


겸손한 과학자가 쓴 인류학 책이다. 과학적 전문 지식을 뽐내거나 숨막히는 과학 용어들을 일절 배제한 채, 과학 이야기라기 보다는 인류학에 훨씬 더 가까운, 학교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말씀하시는 듯한 책이다. 책 제목 중에서 '모든 과학'을 '한 권'에 끝냈다는데에 호기심 반 매력 반을 느꼈었다. 하지만 이 책은 '세상'에 포커스를 두고 있다. 좀 더 정확히 말해 이 책에서 말하는 세상이란, 138억년 전 빅뱅에 의한 우주의 시작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지구라는 별 하나에서부터, 진화와 문명의 발달을 거쳐, 지구 온난화 문제를 해결하고 범우주적인 시야에 끊임없이 도전하는 미래의 지구까지이다. 이러한 세상의 연대기를 그리면서 과학을 조금씩 풀어해쳐 줬을 뿐이다.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부에서는 빅뱅으로부터 막 태어난, 그래서 불안정하기 짝이 없는 아기지구에 대한 이야기이다. 영원한 미스터리일 것 같은 첫 생명체의 탄생 역시 여기에서 다루고 있다. 한때 과학도를 꿈꿨던 내가 과학을 등지고 살아가는 동안 많은 학설들이 등장한 것 같다. 몰랐던 것을 알 때의 그 기분은 여전하구나. 특히나 이 책은 꼭 선생님이 옆에서 가르쳐주시는 듯하다.

제 2부는 영장류에서 인류로 넘어와 문명이 발달하는 과정이다. 인류학을 과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부분이다.​  제 2부가 매력적인 인류학이었다면, 제 3부는 위인전이다. 익히들 알고 있는 아이작 뉴턴, 아인슈타인부터 미처 몰랐던 여러명의 매력적인 인물들의 일대기가 간략하게 소개된다. 천문학과 물리학에 초점을 두고 공통된 분모를 갖는 과학자들을 연대기 순으로 쭈욱 나열해 주니 그 어떤 위인전보다도 훌륭해 보인다.


 읽기 편한 문체이면서, 중간중간 직접 그린 듯한 삽화들이 삽입되어 있어 가독성을 높여준다. 창의적인 과학선생님다운 비유를 통한 설명들이 눈에 띈다. 과학자로서 지구를 경외하고 자신이 사는 세상을 아끼려는 작가의 모습이 여실하다. 아마 많은 사람들에게 자연을 아끼고 지구환경문제에 관심을 갖자라고 말하고 싶어 작가는 이 책을 쓴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