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 나라의 앨리스 네버랜드 클래식 1
루이스 캐럴 지음, 존 테니엘 그림, 손영미 옮김 / 시공주니어 / 200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너무나 유명한 고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너무나 유명해서 읽지 않고도 읽은 것 같은 착각이 드는 작품의 대표격이 아닐까 싶다. 그런데 작가 루이스 캐럴이 앨리스를 등장시킨 또다른 시리즈가 있다는 것은 처음 알았다. '이상한 나라'에서 등장한 고양이 다이나(Dinah)의 새끼 고양이와 놀면서 거울을 쳐다보게 되는 앨리스, 그리고 스르륵 잠이 드는 장면으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이야기가 시작되는 장면에서부터 삽화를 담당한 '존 테니얼'에게 감탄하게 되는데... 의자를 밟고 올라가 거울에 밀착하는 앨리스의 삽화를 보고나서 책장을 넘기면 거울 속으로 들어가는 앨리스를 거울 안의 시각으로 볼 수 있다. 마치 책장을 거울인 양 하여 그린 삽화인 것이다. 이 삽화 한 장으로 독자마저 거울 속을 빨아들인 것이 아닐까. 판타지의 세계를 익살스러우면서도 사실적으로 그려낸 삽화가 '존 태니얼'에게 다시 한번 경의을 표한다. 원문에 실린 이러한 옛 삽화들이 개인적으로 몹시 좋다.

카드놀이를 모티브로 한 전작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있었다면, 후작 <거울 나라의 앨리스>는 거대한 체스판을 책 속에 집어 넣은 셈이다. 하얀 왕과 하얀 여왕을 킹과 퀸으로 삼고 하나의 '졸(卒)'로써 상대편 붉은 왕과 붉은 여왕을 향해 거대한 논밭과 숲을 장기판 삼아 달려가는 앨리스. 한 수 한 수 둘때마다 만나게 되는 익살스러운 캐릭터들. 트위들디와 트위들덤, 모자장수, 사자와 유니콘, 험프티 덤프티, 하얀 기사 등을 그려낸 재미있는 삽화와 함께 푹 빠져든다.

'거울'이라는 컨셉에 맞게 모든게 거꾸로 논리로 돌아가는 세계. 툭하면 역전되는 시공간과 비논리적인 농담, 언어유희의 극을 달리는 말장난들. 패러독스와 넌센스를 자유로이 넘나드는 작가의 센스가 돋보인다. 게다가 엮은 이의 충실한 주석 덕에 영어로 된 언어유희마저 즐길 수 있으니 매우 즐겁다.

루이스 캐럴의 센스 있는 넌센스와 존 테니얼의 사실적인 판타지 삽화가 어우러진, 전작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재미를 넘어서는 익살스러운 작품인 것 같다. 보는 내내 즐거웠고 세번째 작품이 나올 수만 있다면 기다리고 싶구나. 빠져나가고 싶지 않던 환상의 세계 '거울 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