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소설
송수경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율도국
 
 
 
송수경의 소설 <위험한 소설>에서 지칭하는 위험한 소설이란 다름아닌 허균의 <홍길동전>을 가리킨다.
조선 최초의 한글 소설이라 일컬어지는 <홍길동전>은 그 커다란 의의만큼이나 유명하여, 어렸을 적부터 접하고 익힌 작품이다. 또한 조선 시대 천재 여류작가라 불리운 허난설헌(許蘭雪軒)의 동생 교산(蛟山) 허균(許筠) 역시 학창시절 교육과정에서 자주 등장하던 주요 위인이 아니던가.
 
호형호부(呼兄呼父)를 하지 못하는 서얼로 태어난 홍길동은 출가하여 활빈당(活貧黨)을 조직하여 백성들의 가난을 구제하고 원망을 달래는 의적이 된다. 각종 도술로 썩어빠진 관리들을 응징하는 과정 등, 고전에 나오는 여타 다른 의적들, 즉 전우치나 일지매와 별반 다를 것 없는 통쾌한 그의 행보.

너무나 익숙하고 잘 아는 소설이였기 때문일까? <홍길동전>에 대한 인식은 어렸을 적 그대로 변함이 없는 것 같다. 다시 한번 생각해보거나, 나이를 먹고 세상 보는 눈이 조금은 달라져 다시 보고 싶은 생각도 해본 적이 없다. 여차해봐야 권선징악(勸善懲惡) 정도의 교훈과 통쾌함만 느끼고 마무리 했던 작품이었다.
 
 
 
하지만 이번 작품을 통해 <홍길동전>에 대한 의의를 생각해 볼 좋은 기회를 갖게 되었다. 아마 송수경의 <위험한 소설>을 만나지 못했다면 평생 유치원 때 알았던 고전 그대로였을 것이다.
홍길동은 마지막에 조선을 떠나 율도국을 건설한다. 이 부분이야말로 다른 의적들의 이야기와 다른 점이고, 홍길동의 정치적 야심을 드러낸 부분이라 생각할 수도 있다. 어쩌면 사대부 출신 교산 허균이 그의 정치적 야망을 소심하게나마 붓으로 표현 것일지 모른다는 것이다.
 
 
 
조선 시대에 교산 허균은 여러 문우(文友)들과 시창(詩唱)을 하며 오르락 내리락 벼슬길을 하는 등 딱히 역모의 정치적 성향을 보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어찌하여 역모죄로 능지처사(陵遲處死)를 당했는가.
교산의 사라진 글들의 행방은 무엇이며, 그의 문우들 중 이름이 지워져 알려지지 않은 자는 대체 누구인가.
작가 송수경은 많은 사료(史料)들 중 의문점이 생기는 이런 부분들을 모티브로 하여 소설 <위험한 소설>을 집필했다. 실제 인물들을 등장시키고, 역사 속에 뚫린 구멍을 자신의 상상으로 조심스레 매꿔가며 이야기를 완성시킨다.
 
물론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한 부분이기에 작가가 섣불리 자신의 생각을 기정사실인 양 마침표를 찍지는 못하지만, 충분히 완성도 높은 이야기가 탄생한 것 같다. 역시 역사의 구멍을 채우는 일은 독자들의 몫이리라.
 
 
 
역모죄로 능지처참을 당한 허균의 조카 둘, 허보와 필진이 그의 과거 행적을 쫓으며 가문의 억울함을 밝혀내기 위한 이야기가 하나이며, 조금 더 과거로 돌아가 허균이 <홍길동전>을 쓰게 되는 계기, 과정, 그리고 갖가지 권모술수가 펼쳐지는 이야기가 둘이다.
이 둘이 조금씩 맞물려 현재와 과거를 왔다갔다 하는 형식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조금 아쉬운 점은 허균의 과거 행적을 추적해가는 과정이 별 긴장감 없이 펼쳐진다는 점이다. 조금 더 추리소설의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
 
 
 
소설 속에 끊임없이 등장하는 글쟁이들의 글노름 덕에 없는 실력으로 그들의 시조를 감상하려 애를 썼던 것은 참 좋은 추억이 될 것만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