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의 쓸모 - 불확실한 미래에서 보통 사람들도 답을 얻는 방법 쓸모 시리즈 1
닉 폴슨.제임스 스콧 지음, 노태복 옮김 / 더퀘스트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 배워봤자 쓸 데 없다. 덧셈, 뺄셈만 할 줄 알면 먹고 산다.'라는 어른들의 말을 듣고 자라온 나다. 이 술주정 같은 이야기는 완전히 틀린 이야기이며 수학을 무시하고픈 변명에 지나지 않는다는 걸 이미 많은 사람들이 알 것이다. 자동차가 구르고 비행기가 날며 스마트폰이 손에서 떠나지 않는 이 모든 것인 과학의 발전 덕이지만, 이 과학이 곧 수학이지 않은가. 결국 화장실 물 내리는 것부터 전쟁까지 모든 것들이 수학에 기반하지 않는 것이 없는 셈이다. 인문학이 큰 사랑을 받는 요즘, 인문학만큼이나 인류의 삶의 기본이 되는 수학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기회를 얻었다.


이 책은 수학적 사고, 즉 인간의 지능에서 태어난 인공지능을 주로 살펴본다. 인공지능이 나의 취향을 학습하여 알아서 갖가지 것들을 추천해주고, 자동자차가 자율주행을 하며, AI가 의료에 관여하는 신기한 이 세상의 출발점이 바로 수학인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수학 중에서도 확률통계 분야가 되겠다. 확실한 답을 찾아내는 컴퓨터는 뒷방 늙은이 꼴이다. 지금의 인공지능은 어마어마한 빅데이터의 홍수 속에서 스스로 학습하여 알고리즘을 만들어내고, 이에 따라 불확실성 속에서 가장 높은 확률을 찾아낸다. 이렇기에 정확한 정답보다 앞설 수 있는 것이다.


수학과 과학 이야기를 정말 재미있고 쉽게 썼다. 이보다 더 쉽게 쓸 수 있을까 싶지만 그래도 조금 어렵다. 역시 확률은 불확실하기에 어려운 것이 아닐까. 알아서 척척 해주는 인공지능의 이야기인데, 읽을수록 인간의 역할이 크게 다가온다. 우리가 노력해서 인공지능을 만든 이유는 사람을 대체하기 위함이 아니라 우리가 더 잘 살기 위해서라는 것을 새삼 깨닫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