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라는 헛소리 2 - 세상을 홀린 사기극, 유사과학 과학이라는 헛소리 2
박재용 지음 / Mid(엠아이디)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사과학

 

처음 접해본 단어, 유사과학. 언뜻 들으면 뭔가 쉬우면서도 딱히 부정적인 의미는 아닐 것 같았는데, 몹시 위험한 것을 지칭하는 말이었다.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은 이론을 정립된 과학인양 포장하여 많은 이들을 현혹시키고, 2차, 3차 피해를 야기하는 것이 바로 유사과학이다. 인간의 욕망에 의해 탄생한, 과학인듯 과학 아닌 유사과학. 과학저술가이자 커뮤니케이터인 작가는 첫번째 시리즈의 성공에 힘입어 두번째를 출간했다. 강단에서 청중들에게 이야기하듯 학문적인 이야기를 참 쉽게도 설명하고 있다.


평범한 일상의 뒤에 숨어있는 유사과학으로 첫 장을 시작한다. 다이어트 산업과 한의학. 이런 부분은 어쩌면 내가 작가보다 더 잘 알 수도 있겠다. 그외 GMO, 친환경 농산물과 비료, 농약, 그리고 천연섬유의 문제. 막연히 과학기술의 발달과 인구증가에 따른 범세계적인 문제이자 또다시 더 발달된 과학으로 타파해야 할 문제로만 알고 있었는데, 그 배경에 인간의 욕망이 빚어낸 유사과학이 숨어있을 줄이야. 하긴 인문학이 대두되는 요새, 과학과 인문학은 뗄레야 뗄 수 없는 사이라는 인식


두번째 장에서는 사회에서 규정해버린 정상과 비정상, 장애를 다름이 아닌 그름으로 보는 세상, 지배층의 구미에 맞춰진 유사과학을 살펴본다. 수많은 노력에 의해 이제는 사회적 인식이 변하여, 서로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세상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래도 작가가 인문학, 윤리적 측면, 역사적 배경 속에서 유사과학을 콕 집어 보여주니 새삼스럽기도 하다. 특히 인종은 없다라는 과학적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 아, 나도 유사과학을 당연스레 받아들이고 있었구나...


마지막 장에서는 과학자들의 욕망에 의해 탄생한 유사과학을 다루고 있다. DNA 구조를 밝혔다고 배웠던 왓슨과 크릭부터 황우석 박사까지. 나 역시 데이터를 정리하고 통계를 통해 얻은 결과로 논문을 써야하는 과학도로서 타산지석할 부분이 많았다.


비판적 고찰과 합리적 의심은 우리네 삶을 유사과학으로 지켜줄 무기이다. 이제는 과학이나 인문학 등 학문의 경계가 불분명한 것 같다. 오히려 모두를 연계시켜야 비로소 보이고 이해되는 세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