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멸종 안전가옥 앤솔로지 2
시아란 외 지음 / 안전가옥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냉면'에 이은 안전가옥의 두 번째 앤솔로지 시리즈는 '대멸종'이라는 주제로 뭉쳤다. 누가 듣더라도 재앙을 연상케하는 '멸종'이라는 단어 앞에 커다란 뜻을 지닌 수식어가 붙어 종지부를 찍는 느낌이 든다. 어찌보면 하나의 결말을 예고하는 주제에도 불구하고, 5개의 단편은 각각이 너무 새롭고 다채로워 시리즈로 묶어 놓지 않았다면 감히 연결짓기 어려웠을 것 같다. 이것이 여러작가의 작품을 한데 모은 단편집의 매력이지 않을까.


<저승 최후의 날에 대한 기록 - 시아란>

공학박사다운 많은 천체물리학적 배경지식에, 공학박사의 것이라기엔 놀라운 인류학적, 문화학적인 지식들이 가미되어 정말 독특한 판타지가 탄생했다. 대멸종을 끝이 아닌 시작으로 앞세워 '저승'에서 이뤄지는 대책회의를 이야기한 것인데, 쇼킹한 컨셉과 뛰어난 완성도에 감탄을 금치 못하겠다. 개인적으로 가장 으뜸이었다고 생각되는 이 작품은 후에 장편으로 재탄생하길 바라본다. 분명 베르나르의 <타나타노트>를 견제할 작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세상을 끝내는 데 필요한 점프의 횟수 - 심너울>

인간이 만든 세상에서는 인간이 신이다. 책이라든지 게임이라든지. 그렇다면 우리를 만든, 소위 조물주에게도 우리네 세상은 게임 같은 것일까. 인간이 게임을 폐쇄해버리면 게임 속 세상은 대멸종을 맞이하는 법, 우리에게도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을까. 한 번쯤 해봤음직한 상상에 프로그램 코딩이라는 기술을 접목시킨 아주 재미있는 이야기이다.


<선택의 아이 - 범유진>

지구의 여섯 번째 대멸종을 다룬 가장 현실적인 이야기이다. 설화에 인류의 기원을 두고 인간과 돌고래가 대화하는 판타지이지만, 아직은 살아있는 인간들이 미래를 바꿀 수 있을지도 모를, 그런 현실에 근접한 이야기이다. 때문에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는 휴머니즘이 가득한 판타지가 가슴을 뭉클케 한다.


<우주탐사선 베르티아 - 해도연>

지구가 하나의 인격체가 된 이야기. 지구가 멸망하면 우리에게는 대멸종이지만, 지구 입장에서는 우주 속 한 행성의 죽음일 뿐이다. 한 사람의 죽음이 몸 속에 기생하는 온갖 생명체들에게는 대멸종이듯이. 이런 멋진 컨셉에도 반했지만 이 판타지의 백미는 지구 멸망을 다시 인류문명의 기원으로 가져온 부분이 아닐까. 베르나르의 <파피용>을 읽고 박수치며 전율했듯이 또 한 번 박수를 친다.


<달을 불렀어, 귀를 기울여 줘 - 강유리>

대멸종이라는 주제와 판타지라는 장르에 충실한 작품이다. 옛적에 용이 날아다니던 정통 판타지 같은 세계관에서 벌어지는 일이기에 공감력은 다소 떨어진다. 하지만 멸망을 눈 앞에 둔 인물들의 절망적인 심리 묘사가 두드러지는 작품이다.


첫 작품에서 마지막 작품까지 어느 하나 빼놓을 것 없이, 우리나라 작가들에 대한 경외심이 든다. 개인적으로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판타지를 매우 좋아하는 입장으로서, 그의 작품은 유일무이한 그의 천재성에서 비롯된다 생각했건만, 국내에서 그에 버금가는 판타지를 5개나 만날 수 있다니 이는 행운이고 '안전가옥' 출판사의 공모전에 찬사를 아끼지 않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