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 최대한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누구나 교양 시리즈 1
만프레트 마이 지음, 김태환 옮김 / 이화북스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흘러가는 세계사

새롭지 않은 소재, 조금은 성의 없어 보이는 책 제목, 문교부 교과서 같은 표지 그림. 모든 면에서 내 눈길을 잡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표지 제일 위의 문구에 매료되었다. '세계사의 맥을 잡아 주는 56가지 재미있는 강의'. 맥을... 56가지... 나처럼 자연계 학문에 익숙한 이들에게 역사란, 특히 세계 곳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 온 역사란 당최 뜬구름 같기에, 여기저기서 주워 들은 지식의 조각들로만 상식으로서의 소임을 다할 뿐이다. 이런 나에게 이 책은 꼭 맞춤한 역사 교과서이다.

인류 역사의 숲을 보게 해주는 책이다. 문명의 시작부터 현재의 범세계적인 문제인 기후변화까지. 문화, 정치, 전쟁, 민족, 인물, 경제 등 모든 측면에서 굵직했던 역사적 사건을 짤막하게 에피소드를 소개하듯 구성되어 있다. 최대한 객관적인 시각에서, 하지만 민중의 편에서 역사를 바라보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독일인 작가가 쓴 세계 역사서인만큼, 과거 독일의 민족우월주의에 대한 염려도 있었으나 조금도 느낄 수 없었다. 하지만 역사 빠꼼이들은 견해 차이를 내비치거나, 너무 수박 겉핥기 식이 아니냐는 핀잔을 할 수도 있겠다. 유럽의 변천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점 역시 비난을 피할 수 없을지도 모르겠으나, 그만큼 유럽의 역사가 전 세계 역사의 흐름에 미쳤던 영향을 생각해본다면 어쩔 수 없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고 나니 세계사의 전체적 맥락이 조금씩 보이기 시작한다. 덕분에 이해되지 않았던 이야기들의 인과관계가 풀리니 현재의 국제적 상황까지도 한결 더 시원하게 보인다. 당연하다고만 생각되는 민주주의, 조상들이 얼마나 많은 피를 흘려가며 이룩해 놓은 것임을, 세계 각지에서 지금도 민주주의를 위하여 많은 피를 흘리고 있음을 깨닫는다. 역사를 알아야 삶의 뿌리를 안다는 말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겠다.

요즘은 잘 모르겠으나 내 학창시절엔, 국사와 세계사가 별개의 과목이었고 이과계열 학생들은 세계사를 배우지 않아도 되는 혜택(?)을 누렸다. 때문에 아직도 나는 세계사에 뒤쳐져 늦깎이 공부를 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한국사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 정세 변화를 축으로 하여 세계 전체의 역사를 공부하는 것이, 별개의 두 과목을 공부하는 것보다 훨씬 더 이치에 맞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더불어 이 책에 도식화된 지도를 통한 설명이 중간중간 삽입되었다면 금상첨화지 않았을까, 조금 아쉬워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