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모요는 아직 아흔 살
무레 요코 지음, 권남희 옮김 / 이봄 / 2018년 1월
평점 :
절판


이 분홍색 바탕의 표지가 뭇 여성의 마음을 흔들어 놓고 있다. 나도 그 중 한 명! 모모요 할머니도 마음에 쏙 드는 표지일거다.

그러나 모모요를 알게되면 표지를 잊게 할 정도로 그녀의 당당함과 쾌할함, 솔직함에 빠져 헤어나오지 못하게 된다. 


모모요는 무레요코 작가의 외할머니이다. 홀로 도쿄여행을 오고, 호불호가 강하며, 자기 주장을 굽히지 않고 당당하며 밝은 소녀의 모습이 있는 아흔살 할머니, 모모요는 소설 속에 나올 법한 캐릭터이기에 많은 분들이 소설로 착각하신다. 상상해보라, 시골에서 외할머니가 혼자 버스타고 올라오셔서 호텔에서 지내는 모습을! 어딘가 거동이 불편해서 부축해 드려야만 할 것 같고, 길을 잃지 않도록 모시러 가야할 것 같다. 그런데 아흔살 모모요는 예순의 엄마를 뒤로 하고 자신이 보고싶은 것을 향해 빠르게 걸어다니신다. 도쿄에 오려고 그동안 체력을 비축해 놓으셨다나? 


두번째 파트는 외숙모 댁에 사시는 모모요의 일상모습이다. 선물을 받았을 때 마음에 들면 바로 "고맙다"라고 답하지만 아니면 "흐음"이라고 하신다. 그때문에 가족들은 생일선물을 고를때마다 곤욕이라고 하는데, 모모요의 높은 안목과 당당함이 마음에 들었다. 하지만 가족들을 위해 필요한 것을 미리 생각해두고 요구하시면 안되셨을까?(물론, 그정도로 뻔뻔하진 않으신걸 책을 통해 알았지만!)

3kg 쪘다고 다이어트에 돌입하시지 않나, 밤새 장장 7시간의 화투를 치시고도 재밌다며 또 하고 싶어 하신다. 마음만은 청춘이신 것이다. 


세번째 파트는 모모요의 과거이다. 어린 시절과 결혼, 과부가 된 후 아이를 키우는 삶에 대한 부분이다. 모모요의 부모님도 남편도 강요하는 법이 없다. 그래서 꼭 해야할 일은 하지만 너무 하기 싫은 일은 안 한다. 밭일이 그런 것인데 도우려다 아이들이 말리는 바람에 안하게 되셨는데, 철부지 같아 보이는 모습이지만 소녀로 나이들 수 있었던 중요한 부분이 아닐까 싶다. 


모모요는 기쁨도 즐거움도 솔직하게 표현한다. 화가 났을 때는 진심으로 화난 표정을 짓는다. 슬픈 모습은 거의 없는 것도 좋다. 자랑일지 모르지만, 할머니 덕분에 '언제나 생글생글 웃는 인격자 노인'이 되고 싶다고 생각하지 않게 됐다.


우에노 동물원에서 팬더를 보고 다시 긴 줄을 서기 귀찮아 '나는 노인이다'를 되네이며 역주행한 이야기를 신랑에게 해 주었다. 신랑이 "씁쓸하다. 마음은 젊을 때 그대로니까 스스로 자각하려고 '노인'임을 계속 생각하는 거잖아"라고 했다. 그렇구나. 나도 늙으면 저렇게 될 수 있겠다 싶었다. 내 마음, 생각은 늙지 않았는데 외모가 시간이 노인임을 알려주니 인정할 수 밖에 없는 것. 그래서 더욱 모모요처럼 솔직하게 표현하며 젊게 생각하고 행복하게 늙고 싶어졌다. 


이 책은 엉뚱하고 귀여운 외할머니를 생각하며 1995년에 초판이 나왔다고 한다. 

모모요 캐릭터를 보면 '디어 마이 프렌즈'라는 드라마도 생각나고 우리 외할머니도 생각난다.

미스다 마리의 책처럼 일상 속에 재미가 담겨있다. 그래서 많은 여성분들이 분홍색 표지만큼이나 내용도 좋아하실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