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것도 안 하는 녀석들 문지아이들 163
김려령 지음, 최민호 그림 / 문학과지성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소년 소설 작가로 유명한 김려령 작가의 신작 <아무것도 안 하는 녀석들> 가제본을 읽었다. 어른들의 잘못으로 들이닥친 불행에도 꿋꿋하게 자신의 행복을 찾아가는 유쾌한 성장 소설이었다. 아파트에서 잘 지내다가 부모님 때문에 하루아침에 비닐하우스 집으로 이사가 불편한 생활을 하게 된다면 어떨까? 불편한 생활에 불평하며 매일 불만을 입에 달고 있을지 모른다. 한창 예민한 사춘기 시기라면 가출을 할지도 모르고. 그러나 주인공 현성이는 불행에 빠지기 보다 친구 장우와 함께 재미있는 일을 찾아 나섰다. 서로의 아픔을 들쑤시지도 모른척하지도 않고 둘이 함께 도전할 일을 찾아간다. 남자아이라서 불편하고 어색한 생활을 금방 받아들이는 건 아닐 테다. 그저 두 친구는 서로의 불행을 공유할 상대가 있음을 다행으로 여기고 자신의 상황을 즐긴다.


아무것도 안 하는 녀석들이라는 말은 제목뿐이다. 책 속의 아이들은 절대 아무것도 안 하지 않는다. 버려진 비닐하우스를 탐색하고 허름한 아지트를 찾아 자신들만의 공간으로 꾸민다. 그 아지트에서 같이 라면을 먹고 이야기를 나누고 1시간 동안 아무것도 안 하는 영상을 찍어 유튜브에 올린다. 아무도 안 볼 것 같은 영상이 폭발적인 인기를 끈다. 현성이와 장우가 2탄을 찍어 올릴지 가제본에는 나오지 않지만 아마 시리즈를 찍지 않을까. 아무것도 안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부단히 무언가를 하고 있다고 알리기 위해서 말이다.


내 방도 엇고, 씻는 것도 불편하고, 화장실도 불편하다.

이 집은 불편한 것투성이다. 그렇다고 이 집에 사는 것이 되게 힘들지도 않다.

나한테 이 집은 힘들다기보다는 속상한 집이다.

엄마 아빠가 싸운 것도 속상하고, 아빠가 나간 것도 속상하고,

엄마가 애써 밝은 척하는 것도 속상하다.

<아무것도 안 하는 녀석들>


주인공 현성이는 불행에 잠식되지 않고 불행을 회피하지도 않고 자신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보고 상대의 슬픔을 받아준다. 심지어 자신의 감정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집 나간 아빠에게 돌아오라고 연락한다. 그런 현성이가 마음에 든다. 불행을 툭툭 털어버리고 불편한 생활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현성이가 참 멋있다.


아빠가 사기당해서 비닐하우스에서 살다가 비닐하우스에서도 쫓겨난 현성이는 어디로 가게 될까. 재혼한 아빠와 임신한 새엄마 사이에서 관계가 어색한 장우는 새로운 가족에게 익숙해질까. 유튜브에 아무것도 안 하는 녀석들 영상은 계속 올라갈까. 가제본이라 결말을 알지 못하는 나는 읽지 못한 뒷이야기가 궁금하다. 소설 <아무것도 안 하는 녀석들>을 읽는 분들은 주인공들이 몇 시간이나 아무것도 안 하고 가만히 있을 수 있는지 궁금해서 책을 펼치겠지만 읽으면서 알게 될 것이다. 이 아이들이 가만히 있으려고 눈을 바르르 떠는 모습, 웃음을 참으려고 입을 실룩이는 모습을 통해 아무것 안 하는 녀석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갑자기 찾아온 불행은 준비 없이 마주하게 되기에 심리적 타격이 크다. 불행 앞에서 정말로 아무것도 안 하고 무기력하게 있을 수도 있고, 불행을 거부하며 짜증만 낼 수도 있고, 불행 속에서도 살아갈 힘을 찾아 움직일 수도 있다. 나는 <아무것도 안 하는 녀석들>을 읽고 불행에 맞서는 방법을 배웠다.

아무것도 안 하는 녀석들이 알려준 불행을 타파하는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 직접 읽어보시라. 아무것도 안 하는 녀석들답게 부담 가지 않게 움직이는 방법을 알려줄 터이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