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일 반달 그림책
허정윤 지음, 고정순 그림 / 반달(킨더랜드)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형처럼 귀여운 강아지가 63일이라는 컨테이너 위에서 옮겨지다 똑하고 떨어진다. 떨어진 강아지는 어디로 가는 것이며 컨테이너 63일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표지에 숨겨진 의미가 궁금해서 얼른 책을 펼쳐보았다.



63일의 의미는 강아지들의 평균 임신기간을 뜻했다. 작고 예쁘고 귀여운 강아지를 찾는 사람들의 수요에 따라 판매자는 팔리는 강아지를 만들어낸다. 63일이라는 강아지 임신 기간도 줄여서 더 짧은 시간 내에 더 많이 만들어 낸다. 공장에서 물건을 찍어내듯 그렇게.



턱이 어긋나거나 털이 부실한 강아지는 고치거나 버린다. 빠르고 쉽게 만들어진 만큼 쓸모가 없으면 사라진다. 공장에서 찍어낸 인형 같은 강아지는 경매로 팔린다. 조금 불량인 강아지는 한 데 모아 상자째 팔린다.


더 많이 팔기 위해, 더 많이 벌기 위해 강아지 공장에서는 강아지를 만들어낸다. 만들어지는 과정에 강아지가 어떻게 되든지 상관 않고 판매자들은 열심히 일한다. 무표정으로 일만 한다.

<63일>은 만들어지는 강아지의 진실을 담은 그림책이다. 인형 같은 강아지들은 아무런 힘이 없고 선택권도 없이 생산되고 옮겨지고 버려진다. 그저 장난감처럼 쉽게 사고팔고 버리는 사람들에 의해서 말이다. 강아지 공장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업는 나는 이 책을 읽고 경악했고 슬펐다. 인간의 욕심이 이렇게 잔인한 일을 만들어내는구나 싶어서 말이다.

동물들이 진열장 위에 전시되고 보이고 드러나다 보니 아이들이 지나가다 보고 애완동물을 사달라고 조른다며 고민이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동물을 기르는 일은 돈을 주고 사는 구매의 행위가 아닌 가족으로 입양하는 개념에서 시작되며, 무한한 사랑과 책임과 수고가 동반되는 일이다. 장난감 고르듯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람들로 인해 강아지 공장이 생겨나고 소중한 생명이 무참히 짓밟히고 있다.

더는 우리의 이기심으로 작은 생명들이 아파하지 않기를, 잘못된 방식이 바로잡아지기를, 애완동물을 집에 들이는 일에 더욱 신중하게 생각하고 책임감 있게 행동하기를 바라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