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세 시대가 온다 - 실리콘밸리의 사상 초유 인체 혁명 프로젝트
토마스 슐츠 지음, 강영옥 옮김 / 리더스북 / 2019년 9월
평점 :
절판



현대 기술이 많이 발전하였고 더 발전하고 있다. 100세 시대가 도래했다는 말을 들은 지 얼마 안 된 것 같은데 이제 200세 시대가 온다고 한다. SF 영화에서 보던 인공지능 기술이 영화 속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며 영화 속 상상력이 현실화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었다.


<200세 시대가 온다>는 200세 시대가 온다는 말이 허무맹랑한 소리가 아님을, 현재 진행 중인 연구 사례를 들어가며 보고하고 있다. 곧 알츠하이머와 암을 정복하고 수명을 늘리는 약이 개발될 것이라고. 

실리콘밸리의 비밀 연구소에서 진행 중인 의학 연구들이 가능해진 이유는 바로 IT 기술의 발전 덕분이고, 수많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순식간에 정리하고 분석하여 병을 예방하고 치료법을 알아낸다고 말한다. 나의 일상생활 데이터가 쌓여서 조금이라도 이상 증후가 발견되면 바로 진료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


그런데 200세 시대를 향해 달려가기만 하는 의학 기술이 과연 좋기만 할까?


책에서는 아프지 않은 미래에 대해 유토피아적으로 표현한다. 수억의 돈을 투자하여 영생을 향한 길을 찾아냈다고 말한다. 연구 상황과 기술 발전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그 이면에 대해서는 질문으로 남겨놓는다.


나는 100세도 오래 사는 거라고 여기는 사람인지라 급진적인 기술의 발전이 달갑지만은 않다. 그러나 아프지 않게 치료법과 약을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거라는 생각도 든다. 내 생각보다 더 가까이 200세 시대가 다가온 만큼 책에서 던지는 질문들이 머릿속에서 맴돈다. 


'나의 건강 데이터를 다른 사람이 볼 수 있도록 허락해도 되는가?'

'생명 연구 앞에서 법과 윤리는 어떻게 작용할 것인가?'

'누구나 건강할 권리가 주어지는가?' 등.


해결책을 찾진 못했지만 미래를 예측하고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고민하는 시간이 유익했다.

질병의 해결로 인해 장수하는 200세 시대를 기다리는 사람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