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은 내가 집에서 논다고 말했다
최윤아 지음 / 마음의숲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런 책 읽지마."

하얀색 바탕에 "집에서 논다고"가 빨간색으로 돋보이는 표지를 슬쩍 보고 남편이 한 말이다. 자기는 그렇지 않은데 이런 책 읽으면 괜히 오해하게 되니까 읽지 말라는 소리였다. 물론 아랑곳하지 않고 책을 보았고 아이 없는 전업주부의 시간을 헐값에 사용하려는 사람들로 인해 분노를 일으키며 괜히 신랑에게 짜증을 내기도 했다. (발생하지 않은 일에 대해 지레짐작하고 단정 지은 일에 대해 미안하게 생각한다;;) 


그러나 책을 통해 작가가 전하고 싶은 말은 전업주부의 삶을 가볍게 여기는 사람들에 대한 반박이 아니라 자신이 가진 '일의 의미'였다.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아이가 없는 결혼한 여자의 삶'을 통해 '여자에게 일이 없는 것의 의미'를 말하고 있다. 일은 그녀의 자존감을 높여주고 소속감을 일깨워주며 무기력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일에 지쳐 '평온'을 바라며 도망치듯 퇴사하여 전업주부가 되면서 그녀는 스스로 밥벌이를 하는 사람의 '당당함'과 '발언권' 그리고 '의지'를 잃었다. 게다가 전업주부로 살림을 완벽하게 잘 하거나 아이를 잘 키워야 한다는 목표가 없었기에 그녀의 삶은 희망 없는 따분한 삶이었다.


그러다가 그녀를 무기력의 늪에서 빠져나오게 한 것이 있으니 바로 "글쓰기" 였다. 기자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 노력했던 경험을 토대로 <뽑히는 글쓰기>의 초고를 적기 시작하면서 삶에 활기가 넘치기 시작했다. 일에 지쳐 '행복'을 찾아나선 그녀가 다시 '일'을 시작하면서 진정한 '행복'을 깨달은 것이다. 


나는 결혼을 했지만 아직 회사를 다니고 있다. 지금 다니고 있는 회사가 일을 많이 시키거나 괴롭히는 사람이 있는 것도 아닌데 조금만 스트레스 받으면 "주부"라는 도피처로 달려가고 싶다. 결혼 후 아이 없는 전업주부의 삶을 사는 지인들의 소식을 들을 때면, 느긋하게 일어나 브런치를 먹고 청소를 하고 읽고 싶던 책을 읽거나 운동이나 취미생활을 하며 시간을 보내는 여유로움이 너무나 부러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는 다음과 같은 질문들에 당당히 YES를 외치지 못해 일을 그만두지 못하고 있다. '과연 내가 돈을 받지 않고 가능성만 가득한 나의 시간을 체계적으로 잘 사용할 수 있을까?', '돈버느라 지친 가족들의 심부름에 당당히 내 시간에 대한 발언권을 가질 수 있을까?', '시간이 많으니 살림을 더 잘해야 한다는 압박감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까?' 라는.


언젠가 나도 전업주부가 되어 경력이 단절되는 경험을 할 것이다. 그 때에 내 꿈과 방향을 모두 포기하고 주저앉지 않으려면 지금부터 준비해야겠다. 책을 읽고 사고를 넓히고 논리 정연하게 표현하는 훈련을 멈추지 말아야겠다. 아이가 생기면 서평 쓰는 생활을 접을까 했는데, 지속해야하는 이유를 책에서 얻은 셈이다. 


+

육아맘, 워킹맘으로서 자신의 진로를 고민하는 여성에게,

직장이 힘들어 때려칠까 고민하는 분들께,

전업주부의 애환을 이해하려고 하는 남편분들께,

일의 의미를 찾지 못하고 방황하는 분께,

경력단절 이후 다시 일을 시작하려는 여성분께

이 책을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