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7
조지 오웰 지음, 정회성 옮김 / 민음사 / 200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아와 세계와의 대결에서 승리한 자아를 영웅이라고 부른다고 했던가 뭐였던가 그런 기억이 난다. 그 반대일 수도 있다. 패배한 자아가 영웅일지도. 자세한 내용이 기억이 나지 않음에도 자아와 세계를 대치시키는 그 구도가 오랫동안 기억을 따라다녔다. 심지어 영웅이 아니라 이야기들을 전설 신화 설화 민담 같은 것으로 구분하는 척도였을 수도 있다. 어쨋든 자아와 세계가 대결을 하고 그 결과에 따라 무언가는 탄생한다는 개념이 마음에 들었다. 


 윈스턴은 영웅일까 아닐까. 늘 떠들고 다니는 것처럼 나는 인생에서의 장인정신을 세상 가장 귀중한 가치라고 여긴다. 어떤 상황에서도 굴복하지 않고 신념을 끝까지 밀어붙여 마침내 어떤 인생이다 라고 명명할 수 있게 되는 경지에 오르는 인생이야말로 인간의 존엄성 그 자체라고 생각한다. 같은 기준으로 나는 윈스턴이 승리했다고 적을 것이다. 윈스턴의 자아와 세계의 대결은 너무 치열했고 대결과정 중 어떤 부분에서도 마지막 완전한 굴복에서 조차 윈스턴은 세계 앞에서 자아를 놓아버리지 않았다. 윈스턴은 옳고 그름의 두갈래길에서 늘 옳은 길을 좇았다. 무의식이 조종되어 마침내 세대의 모든 부조리에 대해 완전히 수용하게 되었을 때에도 자아는 자신이 믿는 것을 믿었다. (조작된, 잘못된 믿음이었음에도) 책장을 덮고나서도 오랫동안 생각의 여지를 주었던 점은 이런 부분들이다. 


 작가는 결국 자신과 닮은 주인공을 내놓을 수밖에는 없다. 그리고 주인공을 세심히 살펴보면 결국 작가를 유추할 수 있게 된다. 전체주의라는 시대적 비극을 향한 분노가 마치 종교에 심취한 사람이 그렇게 하듯 작품으로 폭발할 만큼의 비대함을 가지게 되는 것이 윈스턴의 모진 고난 속에서도 결국 손가락 네개를 '다섯'이라고 말하지 않았던 심지와 몹시 닮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과거에는 미래였던 과거를, 과거의 사람이 상상한 과거 또는 미래를 엿본다는 기분도 좋았다. 사상적인 측면을 제외한 기술이나 환경같은 부분은 어린시절 그렸던 상상그림을 어른이 되어서 펼쳐본 기분이 들게 했다. 그런 한편으로 사상적인 측면은 좀 슬픈 지점이다. 


 사실 조지 오웰이 상상했던 것처럼 극단적으로 사상이 제한되어 '사상경찰'같은 것이 늘 나를 감시하고 있는 것이 공인된 상황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일상에서 사용하는 물건들 중 통신기능을 가지고 있는 그어떤 물건들도 '사상검열'에 안전하다고 말할 수 없는 환경에서 우리는 살고 있다. 카드나 휴대폰, TV, 컴퓨터 등등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할수록 누군가 나에 대해 알고자 한다면 내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정도는 쉽게 알아낼 수 있는 상황이 나날이 펼쳐지고 있다. 또 당에 대한 충성같은 것을 요구하지는 않더라도 사회가 어떤 획일화된 가치를 쫓고 있다는 생각또한 지울 수 없다. 전체주의라는 것이 너무 과거의 사람인 조지오웰이 상상한대로 폭력적이기까지 한 지경에 이르지는 않았지만 21세기의 대한민국은 마치 안개같이 삶에 스며들어있는 사회의 획일화된 기조가 깃들어있다. 바로 '우리'라는 생각이다. 


 말도 안되는 울타리를 만들어두고 그 안에 있는 사람들끼리 부조리한 질서를 만들어낸다. 그 질서를 어기는 사람은 도태된다. '우리'는 한가지 가치를 추구한다. 우리가 추구하는 가치에서 벗어난 언행을 하는 사람들은 도태된다. 이것이 작은 분야에서의 '우리'병이다. 그러나 조직의 규모가 커지면 커질수록 역치가 올라가 지각하지 못한 새 더 만연해질 뿐 더 심각한 잣대들로 개인의 사상을 검열하고 행동을 규제한다. 이 성별의 사람들은 이렇게 행동해야한다는 편견이나 이 나이대에는 이런 행동을 해야한다는 편견, 이 나라 사람들은 이렇다, 이정도의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이렇다 하는 우리를 만들어 그 밖에 있는 사람들을 '이상한 사람'이라고 규정짓는 정신병같기도 한 전체주의적 습관을 아직도 버리지 못하고 있다. 


 조지 오웰이 윈스턴을 그토록 처절하게 전면에 내걸고 자아를 세계와 대립시킨 이유는 한 시대의 절망일 뿐만 아니라 어떤 인류애적 박애이기도 하다는 생각을 한다. 소설의 말미, 개인에게 가장 중요한 것을 가장 두려워하는 것을 내세워 빼앗았다는 부분을 다시 상기하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