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 그런 게 아니었어 - 모든 여성에게는 자기만의 이야기가 있다
스칼릿 커티스 지음, 김수진 옮김 / 윌북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엄마가 케이블 방송을 통해 「보고 또 보고」라는 드라마를 다시 보고 있었다. 이 드라마는 내가 초등학생 때 방영했던 드라마로, 당시에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이 드라마를 본다고 말해도 될 정도로 인기가 높은 드라마였다. 벌써 22년 전이라니, 세월이 느껴지면서 엄마와 나란히 앉아서 드라마를 보았다. 유행이 한참 지난 헤어스타일과 화장도 어색하게 느껴졌지만, 이 드라마는 지금 다시 보기에는 불편한 점이 너무도 많았다.

시부모님을 모시고 사는 것이 당연했던 시대 상황, 아버지와 남동생의 식사를 챙겨주어야 했던 자매, 결혼 후에는 당연히 직장을 그만두어야 했던 여성과 '시집살이'란 다 그런 거라며 사소한 것들로 트집을 잡아대며 괴롭히는 시어머니와 시누이의 모습. 이 드라마가 방송되던 98년도에는 이 모습이 전혀 불편하지 않았는데, 20여 년이 지난 지금은 그 모습이 너무도 불편한 지난 세대의 이야기가 되어 버렸다.

"우리 뇌리에는 꼬꼬마 때부터 여자아이들은 마땅히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 온갖 파괴적인 메시지가 주입되었다. 그 대부분은 여성들 안에 있는 여러 모습을 수용할 수 있는 강하고 통합적이며 즐거운 여성들을 키우는 데 방해가 된다. 이 글을 읽는 당신이 부디 명심할 것이 있다. 당신은 당신이 존경하는 다른 누구만큼 드넓고 다채로운 내면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 『나만 그런 게 아니었어』 중에서

내가 『나만 그런 게 아니었어』를 처음 알게 된 것은 네이버 책문화에 소개된 한 카드 뉴스를 통해서였다. 출산 7시간 만에 풀 세팅한 모습으로 기자들의 플래시 세례를 받은 영국 왕세자비에 대해 배우 키이라 나이틀리의 글이었다. 인류에게 '출산'은 아름답고, 신비로운 일이기에 '우리의 고통, 찢어지는 몸, 젖이 새어 나오는 가슴, 걷잡을 수 없는 호르몬을 모두 감춰야' 했던 외적으로 포장된 여성의 몸에 대하여. 그리고 떠올렸다. 출산할 때 고통에 몸부림쳐도 자연 분만이 좋다며 제왕절개를 끝까지 반대했던 시어머니와 남편의 이야기를 하던 내 친구들의 목소리를. 여성의 몸은 무엇이었을까.

우리는 자라오면서 수많은 불합리한 상황들에 처한 적이 있지만, 그 당시에는 무엇이 잘못됐는지조차 몰랐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 내가 '무언가'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면서부터 그 불편함들이 눈에 보이기 시작했다. 그래서 남성과 여성 모두 각자의 성별에서 관습적으로 배우고 습관적으로 행해온 수많은 불평등의 모습이 있을지 모른다. 그것을 인지하느냐, 인지하지 못하느냐가 앞으로의 우리의 삶을 바꿀 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