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드 스트라이크
구병모 지음 / 창비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버드 스트라이크』는 날개를 가진 ‘익인(翼人)’들과 도시 사람들 간의 갈등을 중심으로 불완전하게 태어나 멸시 가운데 외롭게 자라온 익인 비오와 도시인 루가 서로의 차이를 혐오와 구분이 아니라 존중과 이해로 받아들이며, 세계와 맞서 성장해가는 이야기이다.

어느 날 고원 지대의 익인들이 도시까지 날아와 시 청사 건물을 습격한다. 익인 가운데 작은 날개로 태어나 비행 능력이 부족한 비오는 습격 직후 도시인에게 붙잡혀 청사에 갇히고 만다. 병환으로 누워있는 시행과 비서 사이에 태어나 청사 내에 숨겨져 살고 있던 루는 익인이 잡혔다는 소식에 익인이 갇혀있는 곳을 찾아간다. 경비병들에게 묶여있던 비오는 사람들이 방심한 틈에 루를 인질로 삼아 청사 밖으로 탈출하고, 루를 사막에 혼자 두고 갈 수 없어 함께 고원지대로 돌아간다. 고원지대에서 익인들과 지내면서 익인들이 시 청사를 공격한 이유와 익인들의 삶을 이해하게 되고, 익인과 도시인 사이의 오랜 반목의 역사에 대하여 듣게 된다. 또한 익인과 도시인 사이에서 작은 날개로 태어나 차별받고 자라온 비오와 시행과 비서 사이에 태어나 이유없이 모멸받으며 살아온 루는 서로의 상처를 보듬으며 가까워지고, 불완전할지라도 서로 존중하고, 인정하며 서로의 삶의 방식을 통하여 조금씩 성장해간다.

 

시행과 비서 사이에 태어난 루는 자신이 태어났다는 이유만으로 휴고(현 시행)를 비롯한 일가로부터 눈밖에 나있다는 사실을 잘 알았다. 루가 태어난 후 줄곳 외조부에게 맡기고 일년에 서너 번쯤 휴가를 얻어 만나러 왔을 때만 만났던 어머니는 외조부가 떠난 뒤 루를 청사로 불러들여 지내게 했다. 병환으로 누워있는 시행을 대신하여 아들인 휴고가 대신 시행 역할을 하고 있는 청사에서 불려온 루는 청사 별관에서 지내며 외부 노출이 극도로 제한된 채 혼자 지내게 된다. 휴고는 루가 탄과 같은 동생이 아니라 아버지의 또 다른 자식일 뿐이라는 식으로 선을 긋는 태도를 공공연하게 드러내었다. 루의 마음 안에는 웅장하고 경직된 청사 안에서 아무도 자신을 환영하지 않는다는, 숨 쉬는 것 말고 그 안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아무것도 없다는 외로움이 짙게 깔려 있었다. 자신이 원해서 그곳으로 간 것이 아닌데도 여전히 자신이 머물러도 괜찮은 자리를 찾지 못했다는 불안한 마음과 육친 사이에서도 느끼게 되는 근본적인 소외감이 마음 안에 자리잡았다.

 

익인과 도시인 사이에 잉태되어 남들의 반도 안 되는 크기의 날개를 가지고 태어난 비오는 초원조의 축복을 다 받을 자격을 갖추지 못하고 태어났다는 이유로 익인 사이에서 온전히 섞이지 못하고 자라왔다. 지장은 익인들의 존재와 전통을 지켜야한다는 이유로 비오를 다른 익인들과 똑같이 축복하지 않고, 일정 수준 이상의 권리를 박탈해왔다. 비오가 아이를 낳으면 더 작은 날개를 가지고 태어날 것이라 생각해 혼인을 금하였고, 비오는 이러한 처사와 이유를 그 누구보다 이해하고 받아들여왔다. 비오의 마음에 자신은 익인이나 익인들과는 다른 존재라는 소외감이 자리잡고 있었다.

 

이러한 태생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는 비오와 루는 마음 깊은 곳에 소외감이 자리잡고 있다. 요즘 많은 청년들은 스스로 생각하기에 몸은 성인이 되었으나 진정한 의미의 '어른'이 되지 못했다고 느끼는 것 같다. 자신이 머물러도 괜찮은 자리를 찾지 못했다는 불안함과 스스로가 지닌 결함을 받아들이기 어렵기 때문이다. 나 또한 내가 성숙한 어른의 모습을 하고 있다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어른'이 어떠한 상태인지 정의내려진 의미는 없다고 생각하지만 이 작품을 통해 '성장한다는 것', '어른이 된다는 것'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어른이 된다는 것, 그것은 불완전한 자신을 용납하는 것

 

비오와 루는 이중적으로 배타적 입장에 놓여있다. 익인과 도시인이라는 서로 대립하는 관계로서의 입장과 익인 무리에서 불완전한 존재로서의 소외된 비오, 가족 내에서 배다른 형제로 소외되고 멸시당하는 루의 입장이다. 사람들은 이들을 의도적으로 배척하지 않더라도 '자신'과 다름에 대하여 배척하고 때로는 노골적으로 혐오를 드러낸다. 그로인해 비오와 루는 어느 곳에도 단단하게 뿌리내리지 못한다. 하지만 이들은 함께 지내는 시간동안 누구에게도 하지 못했던 자신의 감정을 말하고 시인하며 서로를 통하여 자기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사람들은 흔히 자신을 '평범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만, '평범'하다는 것은 사실 존재하지 않는다. 각자의 삶을 들여다보면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하는 아픔도 있고, 또 세상에 나만 다른 무언가 때문에 소외감을 느끼기도 한다.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자신의 기질을 마음에 들어하지 않을 수 있고, 태어날 때부터 정해진 가족과 불화를 겪으며 생애가 불행해지기도 한다. 휴고는 아버지인 시행이 갑작스럽게 병환으로 눕게되자 대행으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정식으로 취임을 한 것도 아니고, 대행으로서 존재하는 자신의 자리에 불안해한다. 사람들이 수군거리는 소리에 자존심 상해하고, 이복동생 루의 등장에 불편한 심기를 노골적으로 드러낸다. 휴고도 여전히 어른이 되지 못했다.

 

'진정한 어른'은 자기 자신을 스스로 돌보고 사랑할 줄 아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 스스로가 완벽하다고 여기는 자아도취나 이정도면 괜찮다고 여기는 만족감이 아니라 내가 태어나면서부터 지니게 된 '결함', 불완전함을 용납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어떤 순간에 스스로에게 실망하기도 하고, 불안을 느낄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스로를 이해하고 용납하는 것 , 어른이 된다는 것은 그런 것이 아닐까? 자신을 존중할 줄 아는 사람이 누군가를 위해 마음을 다하여 자신이 가진 한 줌의 체온이라도 나눠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비오와 루의 성장은 자신의 불완전함을 용납하는 것에서 멈추지 않는다. 익인들이 초원조 이후로 이어온 삶의 방식을 그대로 받아들여 안주하고 살아가지 않고, 다른 익인들보다 작은 날개로 알 수 없는 미지의 땅을 향하여 비행을 시작한다. 태어난 순간부터 정해져 있던 자신의 미래가 아닌 진짜 자신만의 삶을 찾기 위해 날개를 펼친다. 아직은 정의내릴 수 없는 혼돈이 남아있지만 진정 자신이 어떤 인간인지 알기 위하여 그리고 남은 자신의 삶의 방식을 스스로 결정하기 위해 꼭 필요한 시간이라고 확신한다. 어느 곳에서도 단단하게 뿌리내리지 못했던 비오는 이제 스스로 단단해졌다. 그렇게 훌쩍 떠난 비오를 루는 기다리지 않는다.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고 평생의 인연을 기다림 가운데 보냈던 '사와'와 달리 루는 다른 선택을 한다. 루는 '자신의 한계를 명확히 알고 그것을 넘어서기 위해 움직임을 준비한다. 가만히 앉아서 누군가의 휴식처로 남을 마음이 없"(p.259) 다는 고백이 자신만의 비행을 앞둔 루만의 성장을 보여준다. 불완전하지만, 알 수 없는 미지의 땅으로 내딛는 발걸음이 불안하지만 “흔들리지 않고 휘청거리지 않고 날 수는 없”다는 문장처럼(p.203) 절벽 너머로 도약하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아직 진정한 어른이 되지 못해도 괜찮다. 비록 늦었다고 생각될지라도 우리는 여전히 성장할 수 있고, 앞으로도 성장할 수 있다. 자기 자신을 용납할 수 있다면.

"그것은 나면서부터 그 애에게 주어진 몫으로 내가 해소해 줄 수 있는 부분이 아니고 비오도 나를 탓하지는 않아. 세상의 모든 엄마가 자식을 낳아 놓은 것에 대해 일일이 죄책감을 느끼거나 사죄하면서 사는 건 부당하고도 불행한 일이라고 생각하거든. 사람은 누구나 그날그날의 감정에 충실할 권리가 있고, 그 결과로 인한 짐을 제 것이 아님에도 나눠서 져야 할 때가 있지. - P1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