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권으로 읽는 모든 것의 역사

사춘기때 누구나 한 번쯤 자신의 존재 이유와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해보았을 것이다. 드라마에서 출생의 비밀이 흔한 단골 소재이듯 인간의 본성에는 기원에 대한 끝 없는 탐구심이 있는듯 하다. 폴 고갱의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우리는 무엇인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작품처럼 이 책은 빅뱅부터 인류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거대 담론을 다루고 있다.

빌게이츠가 가장 좋아하는 학문 분야가 바로 빅 히스토리라고 한다. 책 제목이 <빅 히스토리>라서 장황하고 방대한 글이 있을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책장을 넘기기 전부터 겁 먹을 필요는 없다. 430페이지의 제법 두툼한 이 책은 글과 이미지가 반반이다. 그것도 풀컬러다.
이 책에는 빅 히스토리 관점에서 중요한 임계국면 8가지를 설명하고 그 흐름에 따라 중대사만 이야기 한다. 나머지는 우리에게 질문을 던져 스스로 생각할 기회를 준다. 여기서 정의된 8가지 임계국면이란 1)빅뱅, 2)별의 출현, 3)새로운 원소의 출현, 4)태양계와 지구, 5)지구상의 생명, 6)집단 학습, 7)농경, 8)근대 혁명을 말한다. 각각의 임계국면이 발생하게 된 필연적인 조건들을 `골디락스 조건`이라 하는데 사실 이것은 사후에 원인을 찾는격 아닐까 생각한다.

이 책은 읽기 쉬우면서도 어렵다. 빅 히스토리에 대해 정답을 알고 싶어서 읽긴 하는데, 정작 답은 안알랴주고 나보고 생각해 보란다. 마치 교양과목 수업 듣는 느낌이다. 책 구성이 왜 그런가 했더니 마지막 역자 후기를 보고 알았다. 이 프로젝트 자체가 중3~고1 학생(상징적인 나이임)을 대상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나와 같이 인문계와 이공계 이분법의 교육을 받은 세대는 지금이라도 배워야 할 주제이다. ˝다른 지식 세계에 대한 지적 갈망을 가진 사람이나 `두 개의 문화`가 조장한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필요한 책˝ 이라고 역자는 말하고 있다.

<빅 히스토리>는 과학과 인문학을 융합한 시각으로 바라볼 것을 강조한다. 과학적 정설도 언제든 뒤집힐 수 있다. 프톨레마이오스 체계가 그랬고 뉴턴 역학이 그랬다. 빅 히스토리도 새로운 것은 무조건 배제할 것이 아니라 언제든 수용할 자세를 기본적으로 갖고 있는 학문이다.


-------------------------------------------------------------------
하늘고기의 북로그
http://m.blog.naver.com/raccoon129/2207244707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