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나를 가로막는 나에게 - 왜 우리는 언제나 같은 곳에서 넘어지는가?
알프레드 아들러 지음, 변지영 엮음, 김현철 감수 / 카시오페아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리학 책이라 내용이 어려울것 같았다. 하지만 프로이트 등의 어렵고 따분하게 느껴지는 심리학 대신 아들러는 가볍게 읽고 쉽게 공감을 할 수 있는 그런 심리학이었다. 아들러가 현대에 살고 있다면 아마 SNS상에서 유명한 글쟁이가 되어있을 듯 싶다.

내가 책에서 느낀 점을 한 마디로 정리하자면 ˝인간이란 쪼갤 수 없는 최소한의 단위이며 인간과 사회에서 발생되는 모든 문제와 갈등은 본인 스스로에게 있다.˝

- 착한 사람의 의미-
자기 자신은 대단히 착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만 정작 지독한 이기주의자인 경우
스스로 이기주의자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매우 착한 사람인 경우
자기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혹은 타인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별로 중요치 않다.
중요한 것은 그가 인간 세상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갖고 살아가는가 하는 것이다.

나는 올바르고 착하게,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살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과연 남들도 이 의견에 동의할까?
˝쟤는 왜저래? 저 또라이 또 지랄이네....˝ 라고 욕이 먼저 나오게 만드는 사람들, 이들은 과연 자기 스스로 나쁜 사람이 되고 싶어서 그런 행동을 하는것인가?
내가 봤을때는 그들도 나름 올바르고 성실한 삶을 살고 있다고 굳게 믿고 있을것이다.
세상이 뜻대로 되지 않을때, 왜 나한테만 그래? 난 이렇게 열심히 잘 하는데 왜 몰라주지? 라고 투덜대는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사람들, 실제로 잘하고 있었던 것일까?
내가 알고 있던 나만의 세계는 진실이 아닐 수도 있다.
타인의 관점에서 바라본 나의 모습과 태도, 평점이 중요한 시대이다. 하지만 이런것에 연연해 하면 진실된 나를 숨기고 남들의 입맛에 맞는 인생을 사는것이 나에게 옳은 길일까?
하는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그래서 아들러는 마지막 결론으로 ˝중요한 것은 어떤 태도를 갖고 살아가는가˝ 라는 말을 남긴것 같다.
본인 스스로 삶에 대해 올바른 방향으로 소신껏 행동하는 태도로 살아가는것이 중요하다.

- 예민한 사람들 -
너무 까다롭고 예민한 사람들이 있다. 성질이 고약하고 걸핏하면 화를 내거나 돌아서는 사람들도 있다.
이러한 것은 모두 열등감의 다른 표현이다.

- 누군가를 이해하려면 -
혼자 있을 때 나쁜 사람이 과연 있을까?
혼자 있을 때 착한 사람, 좋은 사람이 있을까?
사람은 오직 관계 안에서 해석되고 설명된다.

- 모든 기억은 주관적이다 -
경험과 마찬가지로 모든 기억도 주관적인다.
나를 보고 웃는 사람을 보고 내가 기분이 좋으면 그가 미소 짓는것으로 보이고, 내가 마음이 꼬여 있으면 그가 비웃고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사람은 자신의 현재 상황을 설명할 수 있는 사실만 기억한다.
그러므로 기억은, 시시때때로 바뀌는 감정만큼이나 믿을 것이 못된다.

본인 스스로 나는 나쁜사람이 될거야라고 하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나에게 나쁜 행동을 하는 사람은 사실 나쁘려고 하는게 아니라 본인 스스로 합리적인 행위를 한 것이고
그것을 가지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것은 내가 어떻게 받아들이느냐 하는 것이다.
물론 악의를 갖고 골탕먹이려는 심산으로 나쁜 행위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고의로 나쁜 행동을 하는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할 줄 아는 지혜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에 어떻게 서로 기분 상하지 않고 대처하는 노련함도 보여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