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자인 프로세스
칼 애스펠룬드 지음, 한정현 옮김 / CIR(씨아이알) / 2022년 2월
평점 :

디자인 프로세스는 기존 디자인 서적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이미지 위주가 아닌 이론에 중점을 둔 책입니다. 다양한 디자인 분야를 섭력해온 칼 애스펠룬드가 집필한 개정판으로 방대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한 책에 담아냈습니다. 디자인과 같은 창조적인 작업을 할 때, 어떻게 해야 할지 망설여지는 경우가 많고 기존 레퍼런스를 활용해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애스펠룬드의 디자인 프로세스는 영감을 받고, 판별을 하고, 컨셉을 짜고, 검토 및 개선을 통해 확정한 모델을 다듬고 소통하는 과정까지 담았습니다. 저자는 디자인 프로세스는 연애와 같다고 이야기하는데요. 그만큼 막 하는 것보다는 차근차근 발전 과정을 거쳐 지속 가능성을 봐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디자인인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서부터 어떤 기능과 시장을 노리는지, 타켓은 어떻게 되며, 이 제품은 왜 필요한지 등 여러 의문적인 판별을 통해 대중적인 디자인 프로세스을 돕습니다. 그리고 너무 일에 몰두하지 말고, 일상생활 속에서도 얼마든지 영감을 받을 수 있다며 실제 디자인을 하면서 막막했던 생활 속 이야기까지 들려주기 때문에 디자인을 공부하는 입장이라면 직접적으로 와닿는 부분도 많을 듯합니다.

그리고 실무에 종사하는 패션 디자이너와 건축가, 과거 위인들의 이야기, 슬럼프를 극복할 때 마음가짐, 도전과제 등 실제 디자인 생활을 하면서 겪였거나 도움이 되었던 부분들을 멘토 느낌으로 제시해 쉽게 읽을 수 있고 도움을 줍니다. 특히 길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조물부터 유명 조형물들을 통해 왜 이런 디자인이 탄생했을까 하는 등의 물음과 지속가능성부터 자연환경에 대한 이야기까지 단순 공장형 파이프라인 구조에서 벗어나 다양한 영감을 받을 수 있도록 멘토링 해준다는 점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또 관찰과 추리하는 과정 그리고 인간의 본능이라고 할 수 있는 이상적인 패턴 찾기 같은 부분들도 담고 있어서, 이론에 집중한 디자인 프로세스 길잡이라고 느껴졌습니다. 이런 이론들과 다양한 예제 이미지, 실제 사용되고 있는 물건과 색체, 질감, 색온도, 빛과 트랜드 등 정말 방대한 부분들을 하나하나 설명해 주는 책입니다. 그만큼 책이 두껍기도 하고요. 부록으로는 파트별로(드로잉, 창의성, 색채론, 철학) 뿐만 아니라 주목해야 할 디자이너 및 건축가, 디자인 연대기를 역사별로 수록했기에 기존 이미지 위주로 쓰인 책과 함께 읽고 공부한다면 상당한 좋을 것 같습니다. 그만큼 방대한 디자인 스토리를 담고 있으며, 현재 디자인을 공부하거나 종사자분들에게도 디자인 길잡이로서 도움을 주는 책이 아닐까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