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태를 찾습니다! 인문 그림책 12
주강현 글, 김형근 그림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으로 다양한 볼거리가 있는 우리나라에서

겨울 여행중에 빼놓을 수가 없는 장소가 바로 강원도입니다.

그 중에서도 대관령을 넘을 적에 펼쳐지는 황태덕장은

하얀 눈속에서 나무에 대롱대롱 매달려 차가운 겨울바람을 맞고 있는 모습이

한폭의 그림에 어울릴만큼 아름다운 장관이 아닐수 없습니다.

거기다 따뜻한 황태국 한그릇이면 몸과 마음이 다 녹는듯 하지요.

차가운 바람을 맞으며 얼고 녹기를 스무번 이상 반복해서 말린 북어를

황태라고 부르는는데 결국 명태의 또 다른 모습의 먹거리입니다.

오늘은 그 명태에 대해서 조금 더 알고 싶어서

명태를 주제로 한 그림책을 만나보았습니다.

 

미래아이에서 출간된 '인문그림책' 시리즈 12번째 이야기

<명태를 찾습니다> 입니다.

 

 

'국민생선', '민족의 생선'이라고 불릴만큼 명태는 흔한 생선이었고,

명태의 상태에 따라 부르는 이름도 다양합니다.

가장 많이 쓰인 명칭은 '명태'였고, 살아 있는 명태라는 뜻에서 '생태'라고도 했으며,

명태가 추위에 꽁꽁 얼어붙으면 '동태', 꾸덕꾸덕 말린 명태는 '코다리',

완전히 말린 것은 '북어', 명태 새끼는 '노가리'라고 부르지요.

이렇게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우리의 밥상 위에 늘 함께 하던 생선이

이제는 국내산은 찾아보기 힘들고 거의 대부분 수입산에 의존하게 되었네요.

 

이 책에서는 고서에서 전해지는 명태 이름의 기원,

명태를 세는 단위, 명태를 잡는 여러가지 기술과 그물 실의 변화,

조선 후기 경제에서 명태가 중요한 거래 물품으로 자리잡게 된 이유,

고사를 지내거나 복을 기원할 때, 또는 제사를 지낼때 사용된 명태,

그리고, 인간의 끝없는 욕심과 인간이 불러일으킨 지구 기후 변화로 인해

점차 우리나라에서 사라져 가고 있는 명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다시 우리 곁으로 돌아와 주길 바라는 바램을 담고 있답니다. 

 

책을 보는 딸아이의 모습이랍니다.

'명천에 사는 어부 태 씨가 잡았으니 이 물고기 이름을 '명태'라고 지었으면 좋겠다'는

이유원의 <임하필기> 기록을 보면서 너무 재미있어 하였구요.

명태를 여러 마리 한꺼번에 잡기 위한 '연승'이라는 낚시법과

솟대나 장승에 북어를 매달아 놓고 복을 기원하는 풍습도 참 신기해 하였답니다.

 

이제 아침 저녁으로 조금씩 찬기운이 느껴집니다.

이럴땐 따뜻한 북어국이나 동태찌개가 제격이죠.

그러나 수입산으로 차려지는 밥상이 마음 편하지만은 않습니다.

동해안에 명태가 다시 돌아오기를 바라는 어민들의 간절한 바램과

명태를 살리려는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성과를 이루어서

하루 빨리 우리의 바다에서 우리의 명태를 다시 볼 수 있었음 좋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