멍청한 두덕 씨와 왕도둑 미세기 저학년 도서관 3
김기정 지음, 허구 그림 / 미세기 / 201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미세기 출판사의 '미세기 저학년 도서관' 시리즈 세번째 도서이자,

'명탐정 두덕씨' 시리즈로 나온 세권의 추리동화 중에서

첫번째 이야기인 <멍청한 두덕씨와 왕도둑> 입니다~

 

1권 멍청한 두덕 씨와 왕도둑

2권 탐정 두덕 씨와 보물창고

3권 명탐정 두덕 씨와 탈옥수

이렇게 세권으로 구성된 '명탐정 두덕씨' 시리즈는

'김기정' 작가의 재미난 글에

'허구' 그림작가의 멋진 그림이 더해진 책이랍니다.

 

 제목과 차례를 보니 대충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지 짐작할 수 있을것 같아요.

이 글의 등장인물들을 소개하는 코너를 먼저 살펴보면서

멍청하지만 멍청하지 않은 두덕씨의 활약이 기대되더라구요.

 특히, 시커멓고 재빠르고 거기다 무섭기까지 한

수수께끼 같은 도둑의 모습을 흐릿하게 표현함으로 해서

아이들에게 도둑의 정체를 처음부터 드러내지 않아서 좋았어요...

왕도둑은 누구일까요?

 

 

마을에 도둑이 살았어요. 밤에 도둑이 나타났다가 마을 곳곳의 물건이 없어졌어요.

다들 들쥐들의 소행이라 몰아세워 들쥐들은 강기슭으로 떠나 버리고 서로 원수처럼 지냈지만,

사소한 물건들은 계속 사라지고 다들 좀도둑이라며 대수롭지 않게 여겼어요.

좀도둑이라는 말에 자존심이 상한 도둑은 점점 대담한 범행을 저지르고,

결국 '은행을 털겠다'며 경고를 하며 들쥐 아가씨까지 납치해 갔답니다.

한편, 마을 외딴곳 느티나무 아래에 멍청이라고 불리는 두덕 씨가 살고 있었어요.

어느날 밤, 도둑에게 통조림을 빼앗긴 두덕 씨는 통조림을 찾는 과정에서

도둑에게 납치당한 반지 아가씨를 만나 도둑의 정체를 알게 되지만

경찰서장과 신문기자는 그의 말을 믿어주지 않습니다.

결국 들쥐들에게 찾아가지만 고양이 앞에 쩔쩔매는 들쥐가 답답하기만 합니다.

우연히 들쥐로부터 왕도둑의 은행털이 계획을 알게 된 두덕씨는

통조림을 찾을수 있다는 희망에 그 계획에 동참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야기는 여기까지만...

추리동화인데 결론을 말해드리면 재미가 없겠죠~

어떤 일이 펼쳐졌는지는 직접 책으로 확인하는 재미를 느껴보시길~~

 

 

책을 보는 울 딸아이의 모습이랍니다...

평소에 추리 동화는 거의 읽어보지 못했던 아이라 그런지

많은 호기심을 가지며 재미있게 보았어요~

특히, 두덕씨와 반지아기씨의 첫 만남을 참 좋아하더라구요.

 

 

두덕씨를 향한 마을 사람들의 차가운 시선은

요즘 우리들의 세태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것 같아요.

"땅만 파는 멍청이 / 지렁이 보고 놀라는 겁쟁이

두덕두덕 멍청이! / 만날 혼자만 논다네

라라 라라라 라라 라라랄라!"

이런 노래를 부르며 두덕씨를 놀릴만큼

마을 사람들은 두덕씨를 멍청한 겁쟁이로 보고 그의 말을 믿지 않았어요.

그건 까만 안경을 쓰고, 늘 고개를 푹 숙이고 땅만 내려보고 걷고,

작은 눈에 볼품없어 보이는 겉모습으로만 판단하였기 때문이겠죠.

하지만 두덕씨의 진면모는 두꺼운 수학 문제를 즐겨 풀고,

땅속 일이라면 눈을 감고도 훤하게 볼 수 있는 재능에 있었어요.

들쥐들을 진두지휘하면서 진지하게 땅을 파는 모습을 보면서

그리고, 두덕 씨의 재치있는 마지막 반전을 통해

눈에 보이는 것으로만 그 사람을 속단하지 말것을 알려주고 있구요.

우리에게 추리동화를 읽는 긴장감과  통쾌함도 함께 주었답니다.

 

제가 추리 소설을 처음 접한것도 초등 고학년 때 였어요.

'셜록 홈즈'를 주인공으로 한 '아서 코난 도일'의 작품과

'아르센 뤼팽'을 주인공으로 한 '모리스 르블랑'의 작품들을 보면서

추리 소설의 매력을 느끼기 푸욱 바지기 시작했답니다.

그런데, 이번에 만난 <멍청한 두덕 씨와 왕도둑>은

조금 더 어린 저학년 학생들이 추리라는 분야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간단하면서도 쉽고 재미있게 씌여진 책이었어요.

추리 동화를 통해 아이들이 또 다른 분야의 즐거움을 접했으면 좋겠구요.

 사고력과 추리력도 함께 쑥쑥 커졌으면 좋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