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철부지 아빠 - 제9회 푸른문학상 동화집 미래의 고전 26
하은유 외 지음 / 푸른책들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제 9회 푸른문학상을 수상한 작품들을 만나보았어요~

지난번에 '자전거를 삼킨 엄마', '찍히면 안 돼!', '발차기만 백만 번' 이렇게 세편의 단편동화로 구성된 제 9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발차기만 백만 번>을 만나보면서 아이들의 작은 심리를 참 잘 묘사했다는 느낌을 받았었답니다. 그래서 나머지 이야기도 만나보고 싶었어요. 이번에 만난 <나의 철부지 아빠>가 바로 그 책이구요. 제 9회 푸른문학상 수상작으로 8명의 작가가 쓴 9편을 동화를 만나볼 수 있었어요.

'하은유' 작가의 '환승입니다' 에서는 '환승'이가 버스를 탈 때마다 '환승입니다'라는 말 때문에 놀림을 받게 되지만, 회사가 부도나면서 가출한 아빠가 버스에서 들려오는 '환승입니다'라는 말 덕분에 힘을 얻어 돌아온다는 이야기 입니다. 같은 이름이라도 놀림을 받을 수도 하지만 이렇게 누군가에게는 희망이 될 수 있다는 것... 이렇게 시각의 차이, 생각의 차이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려주는 있는 이야기였답니다.

'하은유' 작가의 '척, 보면 알아요!' 에서는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열병으로 눈이 보이지 않게 된 12살 '강찬'과 손자에게 화투장으로 색깔을 알려주는 할머니의 이야기입니다. 화투장으로 표현하지 못하는 색깔 남색과 보라색... 남색으로 한복 저고리를, 보라색으로 노리개를 차지만 여전히 색깔을 설명하기 힘든 할머니에게 강찬은 마음의 눈으로 들여다 보는 가슴아프지만 따스한 이야기였어요~

'김은중' 작가의 '마법을 부르는 마술' 에서는 마술로 인기를 얻었던 효성이가 전학온 친구 성영이에게 마술 실력이 밀리면서 성영이를 미워하게 되는 심리적 갈등을 다룬 이야기랍니다. 마술 공연날 성영이의 마술을 망치기 위해 마술도구 지팡이를 만지게 되지만 성영이의 아픈 엄마와 만나고 성영이에게서 마술을 하는 이유를 듣게 되면서 마음의 변화를 일으키게 된답니다. 그리고 무대에서도 마법과 같은 일이 발생하게 하네요.

'김선영'의 '내 얼룩이' 에서는 코시아인 동우와 잡종 떠돌이 개의 이야기 입니다. 이사온 동네에서 깜씨라는 별명을 얻은 동우는 친구들로 따돌림을 받구요. 까만 얼룩무늬와 갈색 점무늬가 섞인 잡종개 역시 사람들로부터 발길질을 당합니다. 어느날 동우가 위험에 처한 이 개를 구해주면서 '얼룩이'라는 이름을 붙여주게 되고, 얼룩이도 동우를 따르게 되지만 동네 아이들과 친해지기 위해 동우는 얼룩이에게 돌을 던집니다. 비록 사람과 동물 사이지만 서로 동질감을 느끼면서 서로가 서로의 편이 되어주는 아픈이야기였어요.

'김윤희'의 '너, 그 얘기 들었니?' 에서는 같은 반 친구들에게서 시작된 하은이와 강민이에 대한 소문이 순식간에 부풀어지면서 얼마나 왜곡되며 변하는지를 다룬 이야기 입니다. 진실의 여부와 상관없이 우리가 쉽게 말하는 남의 이야기가 당사자 들에게는 큰 상처가 된다는 것을 볼 수 있었구요. 최근에 많이 발생하는 인터넷 악풀의 문제점을 생각해 보게 하는 이야기였어요.

'임근희'의 '공짜 뷔페' 에서는 집을 나간 엄마를 기다리며 살아가는 민성이와 민준이의 이야기랍니다. 맛있는 뷔페 음식이 먹고 싶어 결혼식장을 찾는 아이들의 축의금 이야기는 작은 웃음도 주지만,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보는것 같아 마음이 많이 아팠어요.

'이정선'의 '우리에게 필요한 마법 가면' 에서는 동네 성민이 형에게 괴롭힘을 당하던 지웅이가 마법가면을 만나면서 형에게 복수하기를 꿈꿉니다.  그러나 사실 성민이 형도 폭력을 당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마법가면을 빌려주게 되고, 성민이는 마법과 같은 힘을 얻으며 당당히 맞서게 됩니다. 폭력은 또 다른 폭력을 부른다는 것을 볼 수도 있었지만, 무엇보다 폭력에 끌려다니기 보다 맞서 이겨내어 자신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울수 있었답니다.

'김진희'의 '오늘은' 에서는 입양된 동생을 맞게 되는 다정이의 이야기 입니다. 낯을 가리지도 않고 서글서글한 동생 동주를 보면서 이상한 기분을 느끼는 다정이는 동생의 모든 행동들에 딴지를 걸게 됩니다. 동생에게 엄마와 아빠를 빼앗길지도 모른다는 다정이의 마음과 누나한테 잘해야만 보육원에 보내지지 않고 예뻐해 줄거라는 동주의 마음이 잘 표현된 이야기였어요.

'신혜영'의 '나의 철부지 아빠' 에서는 엄마없이 철없는 아빠와 사는 경태의 이야기입니다. 엄마가 죽었다고 믿어왔던 경태는 엄마가 살아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혼자만 남겨진 것 같은 기분을 느낍니다. 하지만 아빠가 사고를 당하면서 그동안 엄마를 찾기 위해 아빠도 계속 노력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아빠의 애정을 느끼게 된답니다. 아들과 같은 아빠와 아빠와 같은 아들의 동거이야기도 재미있지만 요즘 우리 사회에서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편부모 가정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이야기이기도 하답니다~

<나의 철부지 아빠>는 한 권의 책 속에서 이렇게 9가지의 색깔을 담은 이야기를 만날수 있는 책이었어요. 친구, 가족, 이웃과의 이야기 속에서 풀어나가는 주인공들의 솔직한 감정과 심리를 엿볼 수 있었구요. 조금 무거운 이야기도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적당히 가볍고 재미있게 다루고 있어서 아이들도 쉽게 읽고 느낄수 있어서 좋더라구요. 
 
특히, '환승입니다'는 제 딸아이의 경우도 저희 부부가 지어준 좋은 의미의 이름에 어긋나게 가끔 친구들에게 놀림을 받는 경우가 있었는데, 그런 울 딸에게 희망이 되어주는 것 같아 더욱 마음이 가는 이야기였구요. '공짜 뷔페'와 '우리에게 필요한 마법 가면'은 우리 사회의 어두운 면을 꼬집고 있어서 조금 씁쓸한 느낌이 들었답니다. 그리고 처음부터 완전한 형태는 아니지만 입양가족, 편부모 가족을 이루며 살아가는 모습을 보면서 가족이라는 것은 사랑이 바탕이 되어야 됨을 느낄수 있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