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간이역 > '세계는 울퉁붕퉁하다'의 김성해 저자를 만나고 오다

십만 히트 세 번째 이벤트-'세계는 울퉁불퉁하다'의 김성해 이동우 저자 강연회
세계는 울투불퉁하다-한국 경제에 대한 쓴 소리 그리고 불편함

지난 2009년 6월 17일 수요일에 신촌에 위치한 모임전문공간, '토즈'에서 열린 '세계는 울퉁불퉁하다'의 김성해 저자 강연회를 다녀왔다. 사실 이 책의 저자는 두 명인데, 김성해 작가와 이동우 작가로 이뤄져 있다. 그런데 그날은 김성해 작가만 오는 걸로 되어 있었다.

나는 강연회 시작 시간보다 30분 더 토즈에 먼저 도착해 아직 다 읽지 못한 '세계는 울퉁불퉁하다'를 대기 공간에서 읽고 있었다. 그런데 내 바로 옆에 이동우 작가가 민음사 편집장과 웃으며 대화하고 있었다. 오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일까 반가워서 싸인과 사진을 부탁했다.




그리고 강연회 시간이 되어 김성해 작가가 강연을 시작했다. 김성해 작가는 이 책을 지을 때 토마스 프리드먼의 '세계는 평평하다'를 염두해 두었다고 말했다. 왜냐하면 과연 그들의 생각대로 세계는 평평한 것인가의 그는 의문점이 들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그가 십년 동안 고민한 한국 경제의 문제를 이 책에 녹여냈다고 말했다.




그는 모든 문제가 '나는 누구인가'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 지식인들은 미국인들보다 더 미국인 다운데 그들에게는 주체적인 생각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다고 말했다. 즉 실체없는 모습을 많이 보았다고 하였다. 그래서 이런 문제점에서 가장 중요한 '나'에 대한 문제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고 보았다.

그래야지만 그가 말한 민주주의에 대한 접근으로 넘어 갈 수 있다는 것이다. '나'에 대한 제대로 된 입장을 가지지도 못했으면서 어떻게 국가적이고, 세계적인 접근을 할 수 있을까라는 것이 김성해 작가의 요지이다.

물론 여기까지는 나는 그의 생각에 동의 한다. 하지만 내가 동의 할 수 없고 인정할 수 없는 것은 일본에 대한 정부의 입장과 또 한국이 국제사회에 어떤 지원도 없으면서 소고기 문제에 대해 뭐라고 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그의 입장도 동의하지 못한다.

그리고 외국의 가족중심 회사와 한국과 일본의 가족중심회사가 마치 같은 시스템인 것처럼 말한 대목도 동의하지 못한다.
외국의 가족중심 회사는 적어도 노블레스 오블리주라는 어떤 똘레랑스는 베푼다. 그런데 한국과 일본의 가족중심 회사는 어떤가. 멀고도 가까운 일본의 경우를 찾아 볼 필요도 없다. 한국의 삼성과 현대 그리고 엘지의 사장과 그 아들들이 불우이웃을 위해 몇 억이나 몇 십억을 기부했다는 소식을 나만 못 들은 것인가.

그런데 어떻게 한국과 일본의 가족중심 회사시스템이 외국의 가족중심 회사 시스템과 같단 말인가. 이런데도 일본이 대안인가 싶다.

물론 저자의 강연회에서 한국 경제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접근은 동의한다. 하지만 그밖의 문제들에 대해서는 나와 견해가 달랐다. 가령 일본의 역사문제도 경제와 전혀 상관이 없는 것이 아니다. 책 리뷰에도 밝혔듯이 독도문제를 정부가 소홀히 하다가 일본에게 빼앗기는 불상사가 벌어지면 우리는 우리의 땅이었던 그 땅을 방문할 때마다 일본에게 돈을 갖다 바쳐야 한다. 이런 화폐의 개념이 들어가는 이 문제가 어떻게 역사와 경제를 따로 떼고 볼 문제라는 말인가.

강연회에서는 이런 문제를 질문하여 시간을 잡아 먹을 수 없었지만 이런 동의할 수 없는 의견이 강연회를 듣고 생겨난 것들이다. 그렇다고 그의 의견이 아무 소용없는 것이라고 말을 하는 것은 아니다. 수긍이 가는 내용은 있다. 한국경제는 한국인의 눈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그 점은 확실하다는 것을 강연을 통해 새삼 느껴본다. 그리고 나머지는 더 생각해 봐야 할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