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1페이지 조선사 365 - 읽다보면 역사의 흐름이 트이는 조선 왕조 이야기
유정호 지음 / 믹스커피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리뷰] 역사를 더 재미있게 공부할 수 없을까?

📗 결론 및 평가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언젠가는 직장에서 은퇴해 제2의 삶을 시작하게 된다. 이들 중에는 고전을 공부하거나 자기의 뿌리가 되는 가문의 역사를 배우고 정리하는 일을 하기도 한다.

기대 수명이 높아지고 은퇴자가 늘면서 이런 분위기는 더욱 확산되고 있다.
정리된 것을 공부하는 사람들도 있고, 사료를 뒤지면서 새롭게 집안의 역사를 정리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필요한 책을 하나하나 수집해 참고할 수도 있지만 온라인 자료들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이다.

조선 왕조는 27명의 왕이 재위했다. 조선의 왕들은 시대적으로 요구하는 바가 달랐고 각기 다른 배경 속에서 즉위했지만 성리학 이념으로 무장한 신하들과 학자 그리고 백성들과 함께 국가를 합리적으로 이끌어 갈 임무를 부여받았다.

왕들은 때로는 과감한 개혁 정책을 펼치거나, 때로는 왕권에 맞서는 신권에 대응도 하고 조정자의 역할도 했다. 체제의 안정, 변화와 개혁의 중심에 왕의 리더십이 있었고, 왕의 리더십은 국가의 성패를 가름하는 주요한 기준이었기에 왕으로 산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조선의 왕들은 최고 결정권을 가진 막중한 책임을 다하는 위치에서 어떻게 움직이고 어떻게 나라를 다스렸을까?

왕조 시대가 끝나고 국민이 주인이 되는 민주 사회가 도래했다고는 하지만, 리더십의 측면에서는 과거나 현재나 한 나라의 리더에게 요구되는 공통점이 있다. 역사는 현재를 비추는 거울이라는 말처럼, 우린 역사에서 현시대의 난제들에 대한 답을 찾고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역사를 잊은 민족은 살아 남을 수 없다는 이야기를 귀에 못이 박히게 듣고 조선역사를 어떻게 알아가게 될지 모르지만, 때때로 여기에 정리해두면 좋을 것이다.

⭐ Tag

#1일1페이지조선사365 #유정호 #믹스커피 #조선시대 #조선왕조 #조선역사책 #조선사 #역사책 #조선 #신간소개 #신간도서 #책추천 #서평 #서평쓰는남자 #소원지기 #kthigh11

조선은 건국 후 왕조 개창의 정당성을 널리 알리고 건국을 합리화하기 위한 목적과 조선시대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역사서 편찬이 이루어진 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유네스코 선정 세계기록문화유산인 승정원일기의 분량은 무려 2억 4,250만자. 조선왕조실록의 약 4배에 이르는 분량이고, 급히 쓰여졌기 때문에 읽기 어려운 역사를 재조명해볼 수 있는 책이기도 하다.

​한국사의 마지막 왕조국가 조선은 태조 이성계가 무력을 통해서 고려를 멸망시키고 건국했기 때문에 이름은 조선이지만 고려를 그대로 계승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조선시대는 정권을 잡은 세력이 통치하기는 했지만 유교적인 사상을 바탕으로 백성이 나라의 근본이라는 민본주의를 중요시 생각했기 때문에 근세 사회를 열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끊임없는 연구와 새로운 도전으로 과학 발전을 주도하고, 조선을 지식강국으로 이끈 숨은 공신들. 그들이 후대에 전하고자 한 과학 지식과 역사의 가치를 되짚어본다.
과학·기술 발전의 황금기를 누린 조선시대, 실용적 학문이 발달한 조선은 지식강국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우리가 널리 알고 있는 장영실과 정약용 외에도 눈부신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한 숨은 공신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