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불면의 이유 - 자아를 찾는 아홉 가지 철학적 사유
갈렌 스트로슨 지음, 전방욱 옮김 / 이상북스 / 2020년 7월
평점 :
게일런('갈렌' 아니고 '게일런'임) 스트로슨은 매우 통찰력 있는 철학자이다. 그의 논문 몇 편을 읽어본 나는 적어도 그렇게 생각한다. 그의 입장에 모두 동의하지는 않지만 말이다.
나는 오늘 저녁에 서점에서 이 책을 발견하고 기쁜 마음에 책을 구매해서 집에 돌아와 서론을 읽기 시작했다. 그런데 문장이 괴랄하다. 스트로슨의 유려한 문장이 이렇게 멍청한 내용을 담고 있을 수는 없다. 그래서 결국 (이번에도 또!) 원서를 온라인으로 구입해서 대조를 해봤다. 역시 또냐...
수동태를 능동태로 번역하질 않나, 가정법 과거완료인데 직설법으로 해석해서 내용을 바꿔버리질 않나, 주장과 논증을 구분하지도 못하고, "respect"가 일정한 측면의 의미로 쓰인 경우에 '존중'이라고 번역하질 않나(16쪽)..."삶 속에서 의식만큼 확실한 것은 없다는 것을 아는"으로 번역해야 할 것을 "삶이 절대적으로 확실하다는 것을 아는"이라고 번역하질 않나(17쪽)...
이런 책들을 하도 많이 봐서 이제는 번역문과 원문을 대조해놓고 난도질 하기도 귀찮다.
정말 돈이 아깝다.
이 오역의 바다를 헤치고 스트로슨의 통찰과 논증을 제대로 파악했다면, 당신은 이미 스트로슨의 논문들을 영어로 읽어봤고 관련된 주제에 대해 배경지식을 지니고 있는 사람일 것이다.
번역자는 생물학 분야의 전문가일 테고, 생물학 저널에 실린 영어 논문들이야 문제 없이 잘 독해할 것이다. 그러나 인문학 분야에서 쓰는 영문은 자연계쪽 저널에서 나오는 정형화된 글과는 요구되는 독해의 수준이 다르다. 어휘나 문장의 질 자체가 다르다. 번역자는 철학이나 문학 쪽의 영어독해는 초보자 수준인 것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