뽀뽀뽀가 무슨 뜻이야? 햇살그림책 (봄볕) 52
신영희 지음, 황진희 옮김 / 봄볕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뽀뽀뽀가 무슨 뜻이야?

신영희(지은이), 황진희(옮긴이) 봄볕 2022



 토끼들이 있는 학교에 다람쥐 리승이 전학을 온다. 리승은 토끼들보다 몸도 작고 외모도 확연히 다르다. 우사토는 리승과 친구가 되고 싶지만 선뜻 다가가지 못한다. 리승이 하는 말을 알아들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우사토는 용기를 내어 리승에게 말을 걸고, 둘은 조금씩 가까워지게 된다. 리승은 우사토와 식사할 때 토끼풀을 뜯어다 주기도 하고, 아이의 풍선이 나뭇가지에 걸리자 풍선을 꺼내주기도 한다. 언어가 달라 표현을 못했을 뿐, 다정하고 배려심 많은 친구였던 것이다. 리승과 우사토는 여전히 말은 안 통하지만 많은 것을 함께 하며 우정을 쌓아간다. 마지막에 헤어지는 순간까지 리승이 하는 말인 “뽀뽀뽀”는 알아들을 수 없지만, 둘 사이의 우정에 언어는 더 이상 큰 장벽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데에 가장 중요한 것은 소통이지만, 이 책을 보다 보면 소통이라는 것이 꼭 언어로만 이뤄지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서로를 위한 배려, 친절, 따뜻한 표정, 관심, 도움... 이 모든 것들이 오히려 말보다 더 강력하고 상대방의 마음을 움직이는 소통의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책을 읽으며 아이가 어릴 때 외국에서 또래 아이를 만나 신나게 놀던 때가 떠올랐다. 서로의 언어를 전혀 몰랐지만 뭐가 그리 재밌는지 웃고 뛰어다니며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놀았다. 그러다 서로 말을 이해하는 느낌이 들면 너무나 신나했던...


 언어와 문화가 다른 곳에 속해 있을 때 가장 어려운 점은 언어와 문화의 장벽보다는 ‘다르다’ ‘이상하다’고 바라보는 불편한 시선일 것 같다. 또한 다문화가정, 전학 온 친구, 장애인등 새로운 곳에서 불편함을 느끼는 이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과 이해, 배려가 사회를 보다 더 따뜻하게 만들어 줄 수 있을 거라는 것을 느끼게 해준다.


 *책 앞뒤 면지에 나온 리승과 우사토가 쓰는 말처럼 아이들과 함께 나만의 문자를 만들어서 편지를 써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