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닿고 싶다는 말 - 공허한 마음에 관한 관찰보고서
전새벽 지음 / 김영사 / 2022년 7월
평점 :
『닿고 싶다는 말』 _ 전새벽 저. _ 김영사
1판 1쇄 2022.7.5. _ 14,800원
‘나’. 본인에 대해 알고 알리고 싶어하는 마음을 넘어서 타인과 세상으로 향한다. 그때서야 무언가와 닿고 싶다고 말할 수 있다. 찬란하지만 햇살 없이 눅눅하게 더운, 마음에 관한 전새벽 작가의 이야기들. 『닿고 싶은 말』이다.
전새벽 작가의 ‘햇빛 화가’ 안소현 작가의 그림이 표지의 흰 바탕을 넓게 메운다. 흰 색 바탕은 마치 테두리처럼 그림을 감싸고, 그림 위에는 저자의 이름 세 글자 만이 자리잡았다. 다른 글자와 동떨어져있지만 되려 선명하다.
프롤로그와 에필로그를 제외하고 4개의 장이 나뉘었다. 저자가 ‘나르시시즘’이라고 표현한 자의식, 홀로이기에 비롯된 이야기가 1장, 슬픔과 그 슬픔을 증폭시키는 세상에 대한 이야기가 2장, 끝 없는 애정결핍으로 만들어진 3장, 마지막으로 작가가 세상에 손을 뻗는 4장으로 이루어진다. 저자는 자신의 이야기를 시작하며 자신의 연약한 부위들을 속속들이 공개한다. 이 책의 클라이맥스는 4장이다. 저자가 이 모든 이야기를 꺼내는 데에는 용기가 필요했고, 그것은 이 이야기들이 필요한 누군가에게 닿기 위함이다.
끝이 보이지 않는 마음이 좁은 몸 안에서 터져나간다. 그러나 뜨겁지도 눈부시지도 않다. 적당한 그늘과 서늘한 온도, 바람이 어울리는 마음이다. 전새벽 작가의 글이 그렇다. 아주 솔직한 말과 이야기들이 간질거리면서도 겸허하다. 개구지지만 못되지않아 사랑스러운 이 글들은 책 날개의 작가 소개에서 볼 수 있듯 작가가 겪은 외로움의 산물이다. 깊이 찔리지 않았더라도 마음에 생채기가 있는 사람들에게 깊게 스며드는 연고 같은 글이다.
‘모든 깨달음은 너무 늦게 온다.’ (닿고 싶다는 말 본문 中 p.110)
인간을 음에, 인간관계를 화음에 비교하는 저자의 감성은 마치 씁쓸한 단편 영화들을 보는 것 같다. 문맥을 나누어 시점이 오가는 방식도 영화의 장면 전환과 유사하다. 이리저리 보여주는 대로 저자의 사연을 지켜보고 저자는 독자의 옆에 선다. ‘나는 이랬어, 너는 어때?’ 라고 묻는 것 같다. ‘이 모든 글과 장면이 독자에게 한 마디라도 닿기를’ 바라야 쓸 수 있는 글들이다.
잉크가 말라붙은 듯 타이핑한 글씨체와 여백, 장면전환 부분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친절히 아이콘이 삽입되어 있다. 대단한 소개사는 없지만 에필로그의 글들을 읽다보면 저자는 사람을 아주 소중히 여기고, 그 소중함을 받은 모든 사람이 이미 이 책을 추천할것이라는 직감이 온다. 애초에 소개사가 필요 없는 책이었다.
저자의 고백들이 나의 치부처럼 드러나는 순간도 있었다. 순간 본인의 기억에 얼굴이 달아올랐지만, 이미 이것을 겪은 저자가 유연하게 지금의 자신에 대해 설명해주기도 했다. 혹은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할지 지침이 되어 준다거나. 이 책은 답을 주지 않지만, 답이 없는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을 자세히 묘사한 책이다. 우리는 각자의 방법으로 답을 찾아갈 것이다.
가끔은 사람들을 부류로 나누어 떠올리곤 한다. 마음이 아파본 부류, 치료하려고 애써본 부류, 서로를 치료하기 위해 모이는 부류. 이 책을 읽은 사람들도 이러한 부류에 속하지 않을까. 아마 이 책을 읽은 부류에 속하는 사람들은 서로를 잘 쓰다듬는 부드러운 사람들일지도 모른다는 추측을 한다.
본인은 우울증, 강박증을 앓은 경험이 있다. 치료에 누구보다 열심히 힘썼고 보통의 사람이 되어가고 있다. 이후 다른 사람들의 마음에 손을 내밀고자 하는 용기를 내고 있었다. 책의 끝에, 저자는 내게 그 용기를 주었다. 그런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