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노이즈 : 생각의 잡음 - 판단을 조종하는 생각의 함정
대니얼 카너먼 외 지음, 장진영 옮김, 안서원 감수 / 김영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이즈: 생각의 잡음>

올바른 선택을 이어나가지 못하고 잡음이 낀다. 본인은 상대적으로 판단 하는 과정을 자주 잊어버리기 때문에 이유를 잊어 처음부터 다시 고민하는 습관이 있다. 이때, 매 번 다른 생각의 잡음이 끼어 판단이 번복되거나 어리석어지기도 한다. 이런 약점을 없애기 위해 여러번 판단 할 때 모두 옳은 선택을 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 노력은 다른 상황에서도 같은 판단을 해야 한다는 이 책, 노이즈의 조언과 목적에 일치한다. 현명한 판단이라면 어떤 상황에서도 같은 선택을 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같은 고민이 계속 다른 답을 내리게 된다면 잡음이 낀 것이다. 생각의 잡음. 현명함을 방해하고 후회를 만드는 이 잡음들을 없애기 위해 모두 개인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노이즈는 전문가의 학문적인 조언으로 막연하게 노력하고 고민하던 잡음을 없애는 방법을 정리했다. 막연하던 것을 관통하는 조언. 그야말로 통찰로 똘똘 뭉친 책이다. 삶은 선택의 연속이고, 그 선택을 잘 할 수 있다면 두려울 것이 무엇이 있겠는가.

잡음을 말함에 있어, 상황 잡음과 그 원천 중 하나인 판단자의 기분이 나를 찔렀다. 그야말로 찔린 기분이었다. 내가 모른 척 하고 있던 가장 큰 약점이기 때문이다. 너무 들뜨지 않고 너무 비관적이지도 않은 기분으로 말과 행동을 하려고 한다. 무언가에 매몰되어있을 때는 그 영향을 지나치게 많이 받게 되고, 이는 내가 본질적으로 원하는 판단과 점점 거리가 생긴다. 흔히 돌아다니는 말 중에 기쁠 때 약속하지 말고 슬프고 화날 때 다짐하지 말라는 말이 있지 않던가.

무난한 일상생활 중에 사람을 대하면 늘 기분좋은 상태를 유지하려고 한다. 타인의 호의가 호의로 받아들여지고, 실수들을 좀 더 관용적이게 이해하게된다. 타인의 단점들이 기분나쁘지 않게 지나가고 쉽게 이해 할 수 있었다. 좋은게 좋은 관계에서 넉넉한 마음가짐을 가지게 될 때 나는 더 유한 사람이 될 수 있었다.

기분에 따라 사람들이 얼마나 잘 속는지에 대한 연구도 잠시 소개되었는데, ‘개소리 수용성이라는 단어가 등장했다. 의미 없는 말과 문장에 동조하는 성향을 말한다. 기분이 좋으면 부정적이어야 하는 판단들을 하기 어려워진다. 무뎌지는 것이다. 그저 그렇구나, 하고 지나치게 한다. 본인의 성격과 닮았기에 아주 반가웠던 구절이었다.

토론을 하고 협상을 해야하거나 사람을 잘 골려먹는 대상과 교류할때는 늘 속아 넘어 갈 수도 있다.’를 암시하며 들뜨지 않도록 해왔다. 이렇게 내가 이미 조절하고 있는 잡음들이 소개되는 경우 매우 반가웠으나, 누군가에게는 지나치던 소음이기에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사실 대부분의 잡음들이 한번도 생각지도 못한, 그러나 삶에서 이미 느껴본 소음이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늘 현명함을 갈망한다. 나는 늘 더 나은 선택이 우리를 현명함으로 이끈다고 생각한다. 나의 선택으로 후회하지 않도록, 선택이 번복되지 않도록 내게 끼치는 조건들을 노이즈는 하나 씩 짚어준다. 잊어버리지 않을 일상의 예시들과 부정할 수 없는 탄탄한 근거들로 나는 앞으로의 시간들을 후회없이 보내기로 했다.

 

[이 서평은 김영사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김영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