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0분 그림책 읽기의 힘
정희정 지음 / 한국경제신문i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책에 관한 육아서는 꼭 관심 갖고 보게 된다. 그렇게 어느덧 나와 친해진 그림책!

하루 10분 그림책 읽기의 힘! 책 제목만으로도 그림책 읽기가 주는 그 힘을 또 새삼 느끼면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원래 책을 좋아하던 사람은 아니었다는 저자는 아이에게 읽어준 그림책으로 인생이 변한다. 벌써 저서만도 몇 권인지! '성공해야 책 쓴다'가 아니라 '책을 써야 성공한다'는 이 말이 기억에 남는다. 저자의 성공이 부럽기도 하고 말이다.



그림책, 그리고 육아. 이 이야기를 진솔하게 담아낸 이 책이 참 좋았다.

그리고 언젠가 시작해야 될 아이의 한글 교육. 이것에 대한 이야기도 역시나 다시금 나의 마음을 다잡게 했다.

"한글에 연연하지 말라! 그림책을 읽어주고 그림책을 많이 읽어주면 어느 순간 아이는 한글을 익히고 알아간다! 하루 이틀, 몇 달 더 빨리 한글을 깨우친다고 해서 아이가 인생을 깨우치는 게 아니다. 오히려 오랜 기간 책을 읽어오면서 습득한 배경 지식과 생각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빛을 발하게 된다."

참 맞는 말이란 생각이 들었다. 사실 문해력 유치원 프로그램을 몇 번 본 적이 있는데 그 때 6살 동갑내기 여러 아이들이 사례로 나왔었다. 그 때 기억에 남는 아이 중 하나가 한글은 기가 막히게 다 읽어내는데 정작 이야기를 들려주면 전혀 모르는 아이였다. 그 때 그걸 보고 느낀 게 정말 문자만 읽는 것과 문해력은 전혀 별개의 것이구나 였다. 반면 이야기를 들려주면 어떤 스토리인지 이해를 잘 해내는 아이가 있었는데 그 아이는 부모가 집에서 자연스럽게 책을 많이 읽어준 아이였다. 그 때도 한글을 단순히 기계적으로 읽어내는 것보다 어릴 때 많이 책을 읽어주자 다짐했는데 이 책을 보고선 또 다시 다짐하게 되었다.



그리고 저자 가족들의 특별한 그림책 읽기!

책은 책꽂이에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바꿔주었다. 소파에 그림책 앞면이 보이도록 세워둔다고 한다.

"소파는 앉아야 한다. 그러려면 책을 치워야 한다. 책을 치우려면 만져야 한다. 만지면 보게 된다."

너무나도 재미있는 이야기였다. 그래서 나도 어린이집에서 아이들이 오기 전 소파에 책들을 일렬로 세워놓았다. 물론, 아이들이 와서 보고는 "엄마, 책들이 한 줄 기차 하고 있어요." 하고는 책을 읽지는 않았지만 앞으로 그 날 내가 읽어주고 싶은 책들을 앞으로 이렇게 제시하면 정말 좋을 것 같았다.



"정말 책 읽어주기가 필요한 시점은 바로 초등학교에 입학한 이후다. 많은 부모가 이때 책 읽어주기를 그만둔다. 한글을 깨우치는 것과 책을 읽어주는 것은 별개다. 오히려 글자가 많아지고 지식이 방대해질수록 의미가 어렵고 이해하기 어려운 말들이 있어 부모의 책 읽어주기가 필요하다."(p.255)

아이들에게 책을 따로 읽어줄 시간은 없지만 그래도 잠자리 독서만큼은 지키고 있는 지금. 아이들이 초등학교를 간 이후에도 내가 계속 그럴 수 있을까 싶기도 하지만 이 책을 통해 또 한 번 다짐해보다. 내가 할 수 있는 한 그림책으로 아이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자!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