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공부 수학문해력 하나로 끝난다 - 초등학교 4학년, 수포자가 되는 이유
김은정 지음 / 굿인포메이션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공부 수학문해력 하나로 끝난다 / 굿인포메이션 / 김은정 지음

초4인 첫째 아이는 초등 2학년 2학기부터 3학년까지 수학 방과후 교실에 보내서 수학공부 보충을 했었습니다.

당시에는 제가 수학공부를 도와줄 수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방과후에 보내도 아이의 진도가 궁금하고, 공부가 끝난 교재를 살펴보면 온통 별표 투성이었습니다. 이 별표는 뭐냐고 물어봤더니, 모르면 별표를 쳐 놓고 선생님과 함께 문제를 푼다는 것입니다.

안하는 것 보다는 낫겠지만, 스스로 풀어보려고 전혀 노력하지 않고 별표만 치는 아이를 보면서 이렇게 공부를 하는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어서 4학년이 된 지금에는 일단 방과후 수학에 보내는 것을 멈추었습니다.

일단 올해는 아이와 문제집을 정해 수학예습과 복습을 하고, 제가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은 ebs 선생님 강의를 통해 배울 수 있도록 하고 있지요.

모든 과목이 어렵지만, 좋은 대학에 가기 위해서는 ‘닥수’라고 하는데 수학을 잘 하는 길을 어렵기만 한 것 같습니다.

[초등공부 수학문해력 하나로 끝난다]에서 저자인 김은정 선생님도 역시나 독서를 통한 문해력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책 내용의 앞부분은 언어능력, 문해력, 독해력에 관한 내용이라고 해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Part3부터 수학 공부에 원동력을 불어 넣어주는 여러 방법들을 제시해 줍니다.

수학에 근자감을 가질 수 있도록 충분한 칭찬이 필요합니다. 결과도 중요하지만 과정에 대한 칭찬을 더 많이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이때 무반응과 부정적 반응보다는 전환반응을 할 것을 이야기합니다. 전환반응이란 '잘못이나 문제점을 가능한 빨리, 정확하게, 책망하지 않으면서 설명하는 것'입니다.


선생님께서 사례를 설명하시는 과정에서 우리 아이들과 비슷한 사례가 있어서 공감이 갔습니다.

저도 수학공부 관련해서 여러 권의 책을 읽었는데, 한결같이 한 문제라도 스스로 생각하고 풀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해서, 틀린 문제를 반복해서 풀도록 지도를 합니다. 이 과정에서 한번은 괜찮지만, 또 틀릴 경우 다시 생각해보라고 하면 아이는 일단 짜증을 내고 우는 태도를 자주 보여서 난감한 경우가 많습니다.

저자는 이것이 공부 습관이 잡혀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유야 어떻든 저 또한 아이의 태도 때문에 더 화가 나고, 어떻게 바로 잡아주어야 할지 고민이 많이 됩니다. 결국은 인내심을 기르는 공부가 필요하다고 하므로 끈기와 인내심을 기르기 위한 노력이 많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긍정적 기대감이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낸다는 심리학적 용어인 로젠탈 효과에 대해서도 언급되고 있는데, 아이들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그 노력을 이끄는 것은 바로 칭찬이라고 합니다. 수학신, 수학왕, 수학박사 등의 타이틀을 붙여주며 아이들을 독력하신 선생님의 기술을 본받아 저도 아이들의 수학적 근자감을 길러주기 위해 아주 사소한 것, 구체적인 것에 대해 칭찬을 많이 해 주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굿인포메이션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책세상 #맘수다 #책세상맘수다카페 #굿인포메이션 #초등공부수학문해력하나로끝난다 #초등공부 #수학문해력 #초등학교4학년수포자 #2022개정교육과정수학성취표 #그릿 #자기주도학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